달러-원 환율이 미국의 중동 분쟁 개입 우려로 인해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미국이 이스라엘과 이란 간의 무력 충돌에 개입할 가능성에 대한 경계감이 고조되면서 전반적인 위험 회피 심리가 확산된 결과로 분석되었다. 18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원 환율은 오후 3시 30분 기준으로 전날보다 6.70원 상승한 1,369.40원에 정규장 거래를 마감하였다. 이는 이틀 간의 하락세를 끊고 상승으로 반전된 것으로, 이날 환율은 1,379.90원에서 출발해 장중 한때 1,380.00원에 도달하는 등 변동성을 보였다.
특히 이란核 시설에 대한 미국의 직접 타격 가능성 등의 보도가 투자자들을 안전 자산으로 쏠리게 하는데 한 몫했으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란 최고 지도자의 존재를 인지하고 있지만 당장은 제거하지 않을 것이라는 경고 메시지를 발신했다. 미국의 군사 개입에 대한 예측이 현실화될 경우, 달러-원 환율은 급격히 상승할 여지가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장 초반 달러-원 환율이 1,380원선을 돌파하는 움직임을 보인 후에는 수출 업체의 네고 물량이 쏟아지면서 상승폭 일부를 반납했다. 1,370원선 부근에서 결제 수요가 발생했으나 네고가 더 우세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외국인들이 유가증권시장에서 2,700억원 규모의 순매수를 진행하면서 달러-원에 하방 압력을 가하는 요소가 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 같은 위험 회피 분위기 속에서도 외국인의 원화 자산 투자 수요가 확인되는 모습이다.
한편, 외환시장에서 외국인들은 통화선물 시장에서 달러 선물을 1만7천 계약 이상 순매도하며 달러-원을 끌어내리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장중 미국의 군사 개입에 대한 확실한 정보가 없는 상황에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앞두고 경계감이 고조되면서 1,370원선에 안착하는 흐름도 나타났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상반기 물가 안정 목표 운영 상황 점검 설명회'에서 외환시장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대해 언급하며, 향후 무역 협상의 경과를 면밀히 점검할 것임을 밝혔다. 그는 또한 금리 인하의 시기에 있지만 가계부채와 주택시장, 외환 시장 상황을 모두 고려해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위안화를 절하하며 달러-위안 거래 기준 환율을 전장 대비 상승한 7.1761위안에 고시했다. 다음 거래일에 대해 딜러들은 FOMC 회의 결과에 주목하고 있으며, 한 외국계 은행 딜러는 '글로벌 달러화 강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FOMC가 금리를 동결하고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를 약화시킬 것으로 분석하였다.
장중 달러-원 환율은 뉴욕 역외차액결제선물환(NDF) 달러-원 1개월물 상승을 반영해 1,379.90원으로 거래를 시작했고, 장중 고점은 1,380.00원, 저점은 1,368.60원으로 나타났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발표될 시장 평균 환율(MAR)은 1,373.20원으로 예상된다.
한편, 최근 통계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일 대비 0.74% 상승하여 2,972.19에 마감하였고, 외국인 투자자들은 유가증권 시장에서 2,707억원 규모의 주식을 순매수한 반면, 코스닥 시장에서는 786억원어치의 주식을 순매도하였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엔 환율은 144.937엔, 엔-원 재정 환율은 100엔당 945.20원이었으며, 유로-달러 환율은 1.15130달러를 기록했다.
✅ 주요 용어해설 1. 달러-원 환율: 미국 달러와 한국 원화 간의 환율. 2. FOMC: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 금리 결정 및 통화정책을 책임지는 기구. 3. 네고 물량: 수출업체가 외환 시장에서 자국 통화를 판매하기 위해 내놓은 물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