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 작성일 : 2025-05-27 | 수정일 : 2025-05-27 | 조회수 : 47 |
애플(NAS:AAPL) 주가가 최근 8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보이며 기술적 약세 국면에 접어들었다.
이 하락세의 주요 원인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아이폰 제조에 대한 세금 문제를 언급하며, 미국 내 제조를 하지 않을 경우 최소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한 데 있다.
지난 23일, 애플의 주가는 3.02% 하락하며 195.27달러로 마감했다.
야후 파이낸스와 인베스토피디아에 따르면, 애플은 올해 들어 22% 감소했으며, ’매그니피센트 7(Magnificent Seven)’ 기업들 중에서 가장 부진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기술적 분석에 따르면, 애플은 하락 확장형 패턴(Descending Broadening Formation)의 상단 추세선과 50일 이동평균선 부근에서 매도 압력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시장에서는 193달러와 169달러의 지지선에 주목하고 있으며, 215달러와 237달러의 저항선 역시 중요한 관찰 대상이 되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최근 저점인 193달러가 지난해 5월의 횡보 구간과 일치하므로 이 부근에서 주가가 지지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하고 있다.
반대로, 지난 4월의 관세전쟁으로 인한 폭락 당시의 최저점인 169달러를 하회할 경우, 심리적인 저항선이 무너질 위험이 크다고 경고했다.
애플 주가가 반등할 경우에도 지난해 6월 이후 주요 고점과 저점이 교차하는 추세선인 215달러에서 강한 저항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7월과 10월 형성된 주요 고점인 237달러에서는 매도 압력이 더욱 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애플 주가가 이러한 하락세를 극복하고 반등할 수 있을지가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 주요 용어 해설:
1. 하락 확장형 패턴(Descending Broadening Formation): 주가가 단계적으로 높은 저점과 낮은 고점을 기록하며 하락하는 기술적 차트 패턴.
2. 50일 이동평균선: 최근 50일간의 주가 평균을 산출하여 주가 추세를 분석하는 지표.
3. 매도 압력: 주가가 하락할 때 매도 거래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용어.
(latte1971@gmail.com)
문화경제일보 경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