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  광고문의 |  발행일: 2025-07-05



문화경제신문

2025년 글로벌 AI 산업 동향: 시장 성장과 규제, 일자리 변화의 삼중주

김기목 기자 (teomok1@gmail.com)


2025년 글로벌 AI 산업 동향: 시장 성장과 규제, 일자리 변화의 삼중주

김기목 기자 (teomok1@gmail.com)




최초 작성일 : 2025-05-30 | 수정일 : 2025-05-30 | 조회수 : 47


2025년 인공지능(AI) 산업은 놀라운 성장세를 보이며 글로벌 경제와 사회 전반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시장 조사에 따르면, 2025년 글로벌 AI 시장 규모는 약 7575억 달러(1,020조 원)에 달할 것으로 보이며, 오는 2034년까지 3조 6800억 달러(4,960조 원)로 성장할 전망이다.

AI 기술은 제조업, 금융, 헬스케어,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며 시장 성장을 촉진하고 있다.
특히 생성형 AI의 혁신적인 발전은 콘텐츠 제작, 고객 서비스 및 데이터 분석 등에서 새로운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2024년을 기준으로, 미국의 민간 AI 투자 규모는 1,091억 달러에 이르며, 중국(93억 달러)과 영국(45억 달러)을 매우 큰 격차로 앞서고 있다.

이와 함께 AI 기술의 빠른 발전에 따라 각국 정부는 안전성과 윤리성을 확보하기 위한 규제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 2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AI 액션 서밋'에서는 58개국이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AI를 위한 선언'에 서명하며, AI 기술의 투명성과 공정성,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국제 협력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AI 기술의 도입은 노동 시장 구조에 중요한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국제노동기구(ILO)의 보고서에 따르면, AI로 인한 자동화로 인해 여성 근로자가 남성보다 세 배 더 많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유명한 AI 기업의 CEO는 향후 5년간 AI가 초급 사무직의 절반을 대체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하였다.

지역별로는 미국, 유럽, 아시아가 각각 차별화된 전략으로 AI 산업에 대응하고 있다.
미국은 민간 주도의 혁신을 강조하며 AI 개발과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반면, 유럽연합(EU)은 위험 기반의 규제 프레임워크를 도입하여 윤리적 사용 및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2025년에는 'AI 법안'을 통해 고위험 AI 시스템에 대한 엄격한 규제를 시행할 예정이다.
아시아에서는 국가 주도의 AI 정책을 통해 기술 개발과 규제를 동시에 진행하고 있으며, 중국과 인도는 각각 기술 발전과 사회 문제 해결에 주력하고 있다.

AI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기술 발전 외에도 윤리적 및 사회적 고려가 필수적이다.
전문가들은 AI 기술이 노동 시장 구조, 사회적 불평등 및 개인정보 보호 등 다양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종합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한,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AI 기술의 안전하고 포용적인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주요 용어 해설
AI: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의 약어로, 기계가 인간의 인지 기능을 모방해 학습하고 문제 해결을 하는 기술.
생성형 AI: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하는 AI 기술.
윤리성: 기술이나 행동이 도덕적으로 올바른지를 평가하는 개념.

Tags  #경제  #AI  #글로벌시장  #기술규제  #미래일자리  #인공지능  #시장성장  #경제전망  #윤리적기술  #사회변화  #국제협력  

Author Photo
김기목 기자

(teomok1@gmail.com)

닉네임:
댓글내용:
🎖️ '문화경제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인기글
🚀 추천글
추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