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  광고문의 |  발행일: 2025-07-05



문화경제신문

[뉴욕증시-마감브리핑] 美·中 정상 대화 기대로 힘입어 뉴욕증시 상승 …나스닥 0.8%↑ 마감

천경선 기자 (latte1971@gmail.com)


[뉴욕증시-마감브리핑] 美·中 정상 대화 기대로 힘입어 뉴욕증시 상승 …나스닥 0.8%↑ 마감

천경선 기자 (latte1971@gmail.com)




최초 작성일 : 2025-06-04 | 수정일 : 2025-06-04 | 조회수 : 35

 


뉴욕증권거래소에서 3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시는 세 주요 지수가 모두 상승하며 장을 마감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의 대화가 조만간 이루어질 것이라는 백악관의 발표에 따른 것이다.
이러한 기대감은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낙관론을 확산시켰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214.16포인트(0.51%) 상승한 42,519.64로 거래를 마쳤으며,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34.43포인트(0.58%) 상승한 5,970.37을 기록했다.
나스닥 종합지수도 156.34포인트(0.81%) 오른 19,398.96에 장을 닫았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조만간 정상 간 대화가 있을 것'이라고 전하며,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이 제네바 무역 합의를 충실히 이행하는지를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왕이 중국 외교부장은 미국 대사와의 회동 중 '중국은 제네바 회담 이후 합의를 엄격하게 이행했다'며, 미국의 최근 조치에 대한 유감을 표명했다.

하지만 백악관의 발표가 이어지면서 시장은 긍정적인 분위기를 이어갔다.
웨드부시 증권의 댄 아이브스 애널리스트는 '월가는 현재 미중 관계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보고 있다'며 '이번 주에 트럼프와 시진핑 간 대화가 예정되어 있는 점이 이 같은 믿음을 더욱 확고히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이번 협상에서 가장 큰 수혜자는 엔비디아'라고 덧붙였다.

실제 이날 기술주는 상승세를 주도했다.
기술 업종은 1.48% 오르며, 에너지는 1.11% 상승했다.
반면 부동산, 통신 서비스, 필수 소비재 등은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2.72% 급등하며 구성 종목 모두가 미중 정상 대화 기대감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엔비디아는 2.80% 올랐고, 브로드컴도 3.27% 상승했다.
TSMC와 AMD, Arm,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텍사스 인스트루먼츠의 주가도 2% 안팎으로 올랐다.
엔비디아는 이날 강세로 시가총액이 3조4천457억 달러를 기록하며 마이크로소프트(MS)를 제치고 시총 1위 자리를 탈환했다.

한편 '매그니피센트 7'으로 알려진 대형 기술기업들은 서로 다른 등락을 보였다.
아마존, 메타 플랫포머스, 알파벳 등이 약세를 보이면서도 미국 할인 유통체인 달러 제너럴은 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1분기 실적이 기대치를 초과하여 주가가 15% 이상 상승했다.

증시가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가면서 S&P500의 연말 목표치는 상향 조정되는 움직임을 보였다.
도이체방크의 빈키 차다 미국 주식 및 글로벌 전략 담당자는 S&P500 지수의 연말 목표치를 기존 6,150에서 6,550으로, 6.5% 상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한편, 미국의 구인 건수는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4월 구인·이직 보고서에 따르면, 계절 조정 기준 구인 건수는 739만 건으로 전월 대비 19만 건 증가했으며 이는 시장 예상치인 710만 건을 초과하는 수치였다.
그러나 연방준비제도의 주요 인사는 무역 정책에 대한 우려를 재차 표명했다.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미국 경제를 스태그플레이션으로 몰아갈 수 있다'며, 이러한 상황에 대한 중앙은행의 대응 지침은 정해져 있지 않다고 경고했다.

그는 '고용은 줄고 물가는 오르면서 둘 모두 악화할 때 중앙은행이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이 없다'고 덧붙였으며, 리사 쿡 연준 이사도 '관세가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쳐 인플레이션이 다시 상승할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7월 기준금리 동결 확률은 74.3%로 변동이 없었으며,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의 변동성 지수는 0.67포인트(3.65%) 하락한 17.69에 거래되고 있다.

주요 용어 해설
1. 낙관론: 긍정적인 결과를 예상하며 기대하는 태도.
2. 시가총액: 기업의 주가와 발행 주식 수를 곱한 값으로, 기업의 시장 가치를 나타냄.
3. 스태그플레이션: 경제 침체와 인플레이션이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

Tags  #경제  #나스닥  #기술주  #엔비디아  #S&P500  #연준  

Author Photo
천경선 기자

(latte1971@gmail.com)

문화경제일보 경제부

닉네임:
댓글내용:
🎖️ '문화경제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인기글
🚀 추천글
추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