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  광고문의 |  발행일: 2025-07-05



문화경제신문

2025년 글로벌 경제, 안정적 인플레이션 속 성장 둔화 우려

김기목 기자 (teomok1@gmail.com)


2025년 글로벌 경제, 안정적 인플레이션 속 성장 둔화 우려

김기목 기자 (teomok1@gmail.com)




최초 작성일 : 2025-05-26 | 수정일 : 2025-05-26 | 조회수 : 17

2025년 4월 현재 한국과 미국은 모두 안정적인 인플레이션세를 보이고 있지만, 경제 성장률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국의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하며 3월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이러한 물가 안정세를 반영하여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2.75%로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와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역효과를 미치면서, 2025년 한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은 1.5%로 하향 조정되었다.

한편, 미국의 4월 연간 인플레이션율은 2.3%로 하락하며 2021년 2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에너지 비용의 감소, 식품 및 교통 분야의 인플레이션 둔화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 가운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2025년 성장률 전망을 2.1%로 조정하였다.
이는 성장세 둔화에 대한 우려를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

글로벌 경제 상황 역시 여전히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2025년 세계 경제 성장률이 3.1%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며, 주요국의 무역장벽 증가와 정책 불확실성을 주요 하방 리스크로 지적했다.
국제통화기금(IMF)도 2025년 세계 인플레이션율이 3.2%에 이를 것이라고 예측하며, 정부 지출 확대와 원자재 가격 상승, 공급망 차질 등이 그 원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한국과 미국은 안정적인 물가 속에서도 성장 둔화의 위험 요소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경제 전문가들은 이러한 추세가 지속된다면 향후 정책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자료 출처: 한국은행, 미국 노동통계국(BLS), OECD, IMF 등

Tags  #경제  

Author Photo
김기목 기자

(teomok1@gmail.com)

닉네임:
댓글내용:
🚀 추천글
추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