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 작성일 : 2025-06-19 | 수정일 : 2025-06-19 | 조회수 : 48 |
중국 로봇시장이 2024년 470억 달러에서 2028년에는 1,08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연평균 성장률(CAGR)이 약 23%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중국이 현재 넷 중 하나의 로봇을 생산하고 있을 정도로 글로벌 로봇 시장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는 사실을 반영하고 있다.
로봇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중국의 제조업과 서비스업 관련 로봇의 급속한 성장이 예상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산업용 로봇의 생산량은 35.5% 증가하며 69,056대가 신규로 설치되었고, 서비스用 로봇 또한 13.8% 증가하여 약 120만 대가 공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드론 시장은 2024년 약 190억 달러에서 2028년에는 4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이며,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도 2023년에 약 3억 달러에서 2030년에는 34억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는 'Made in China 2025'의 일환으로 로봇 산업을 핵심 정책으로 설정하고, 이를 위해 수백억 달러 규모의 보조금과 세제 혜택, 산업단지 지원 등을 통해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은 단순 발주 중심의 사업을 넘어 혁신적이고 글로벌한 진출을 도모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으며, 중국은 이제 제조, 서비스, 휴머노이드 분야 전반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중국은 현재 전 세계 AI 기반 로봇 배치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휴머노이드 로봇 관련 특허 수 역시 미국의 4배에 달해 기술력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세계 최대 로봇 시장으로 부상한 중국은 부품 기반의 공급망 강점을 바탕으로 가격 경쟁력에서도 글로벌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이와 같은 환경 속에서 글로벌 기업들은 로봇 기술 경쟁에 대응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중국, 미국, 일본, 유럽 간의 기술력 확보와 공급망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의 자동화 확대는 국가 경쟁력 강화뿐 아니라 글로벌 제조업과 노동 시장에도 중대한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한국을 포함한 기타 국가의 기업들은 고부가가치 로봇 부품 및 소프트웨어, AI 분야의 융합을 통한 경쟁력 확보와 함께 글로벌 협업 전략을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주요 용어 해설:
1) CAGR(연평균 성장률): 특정 기간 동안의 투자 수익률을 추정하는 지표.
2) 휴머노이드 로봇: 사람의 형태를 가진 로봇으로, 인간의 행동과 움직임을 모방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로봇.
3) Made in China 2025: 중국 정부의 산업 고도화 전략으로, 첨단 기술 산업의 발전을 목표로 함.
노이드로봇, 드론시장
(teomok1@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