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  광고문의 |  발행일: 2025-09-04



문화경제신문

관세 협상 타결, 달러-원 환율 6.90원 상승

천경선 기자 (latte1971@gmail.com)


관세 협상 타결, 달러-원 환율 6.90원 상승

천경선 기자 (latte1971@gmail.com)




최초 작성일 : 2025-07-31 | 수정일 : 2025-08-01 | 조회수 : 8


 

 

달러-원 환율이 이날 오전 서울 외환시장에서 1,390원 부근에서 등락을 거듭하며 횡보세를 보이고 있다. 한미 간 진행된 관세협상 타결 소식은 최근의 불확실성을 일부 해소했으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의 매파적 발언과 강달러 기조가 겹치면서 환율은 상승 출발 후 제한적인 움직임을 보였다.

31일 오전 11시 20분 현재, 달러-원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6.80원 상승한 1,389.9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환율은 전날보다 6.90원 오른 1,390.00원에 개장했으며, 장 초반에는 관세협상 소식에 상승폭을 줄이기도 했으나 이후 다시 소폭 상승세를 보였다. 외환딜러들은 관세협상 결과가 원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지만, 통화 가치의 선반영 가능성과 EU 및 일본 등 다른 협상국의 통화 약세를 고려할 때 원화의 강세 압력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힌트를 주지 않은 데 따라 매파적 기조가 강조되면서 환율 변화에 더욱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의견도 있다. 이와 함께 코스피 지수는 장 초반 1% 가까이 상승하며 강세를 보였으나 이후 상승폭을 줄여 보합권으로 돌아섰다. 다만, 위안화의 강세가 이어지면서 달러-원의 추가 상승세는 제한되고 있다.

한편, 대만 장관급 국방부장의 미국 방문 취소 소식과 대만 총통의 뉴욕 경유 불허는 미중 관계의 악화를 시사하며 다각적인 외교적 논란을 촉발할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현재 역외 달러-위안 환율은 0.16% 하락한 7.1980위안에 거래되고 있으며, 달러 인덱스는 99.7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워싱턴 DC에서 진행된 간담회에서 한미 관세 협정의 주요 요인으로 마스가(MASGA) 프로젝트를 언급하며 이번 협상의 성공적인 결과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았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대미 관세율은 기존 25%에서 15%로 조정되었으며, 자동차 관세도 동일한 비율로 결정되었다. 구 부총리는 "시장 개방 확대는 이루어졌으나 우리 농업의 취약성을 반영해 추가 시장 개방은 하지 않기로 합의했다"고 강조했다.

오후 장에서 외환딜러들은 위안화의 강세에 따라 원화도 소폭 강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으나, 변동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 외환딜러는 "달러-위안 환율의 하락이 환율에 하락 압력을 주고 있지만, 여전히 매수 물량이 존재한다"면서 "한미 협상의 결과는 이미 가격에 반영되었으므로, 추가적으로 하락하진 않을 것이다"라고 내다봤다.

장중 달러-원 환율은 뉴욕 역외차액결제선물환(NDF) 달러-원 1개월물 상승을 반영해 전 거래일 대비 6.90원 오른 1,390.00원에 거래되기 시작했으며, 하루 동안의 고점은 1,390.90원, 저점은 1,387.20원으로 보고되었다. 현재까지의 거래량은 약 54억 달러에 달하며 외국인 투자자들은 유가증권시장에서 1천308억 원, 코스닥에서는 236억 원 상당의 주식을 순매수 하였다. 

✅ 주요 용어해설
1. FOMC: 연방공개시장위원회(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미국의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기구.
2. 원화: 대한민국의 공식 통화.
3. 달러 인덱스: 달러의 가치를 다른 주요 통화에 대해 산출한 지수.

 

Tags  #경제  #환율  #관세협상  #원화강세  #외환시장  #미연준  #달러  #위안화  #경제전망  #투자  #무역협상  

Author Photo
천경선 기자

(latte1971@gmail.com)

문화경제일보 경제부

닉네임:
댓글내용:
🎖️ '문화경제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인기글

📸 이미지 프롬프트 복사 완료!
이제 어떤 이미지 생성 도구로 이동하시겠어요?
🧠 ImageFX 🧪 Whi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