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 작성일 : 2025-06-11 | 수정일 : 2025-06-11 | 조회수 : 26 |
체코 방첩기관(BIS)이 프랑스의 체코 두코바니 원전 수주 경쟁 과정에서 15명의 현지 인력을 활용한 스파이 및 여론전 활동을 적발했다.
이러한 의혹은 프랑스가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의 수주를 방해하고자 했다는 주장을 제기하며 주목받고 있다.
이번 사건은 양국 간의 외교 및 방산 분야에서의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
체코 두코바니 원전 프로젝트는 한수원과의 계약 체결을 눈앞에 두고 있었으나, 프랑스의 전력 생산 기업 EDF가 계약 가처분 신청을 제기함으로써 절차가 지연되었다.
최종적으로 체코 최고행정법원은 가처분을 해제하고 한수원의 계약 체결이 완료되었지만, 이러한 과정 속에서 프랑스의 비밀 활동이 드러났다.
체코 방첩기관은 전직 관료, 로비스트, 원전 전문가 및 현직 관료 등으로 구성된 15명이 프랑스 정부의 정보 및 여론 조성 활동에 관여했다고 보고하였다.
이들은 한국의 제안이 부당하다는 내용을 은밀히 유포하며 현지 여론을 조작한 것으로 의심받고 있다.
또한, 기밀 서한 유출 정황이 포착되며 내부 협력자의 존재도 주목받고 있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수출 경쟁을 넘어서 외교 및 안보로의 확대 가능성이 있어 EU 주요국 간 긴장을 예고하고 있다.
한국과 프랑스는 원전, 방산, 잠수함, 전투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치열한 경쟁을 이어오고 있으며, 이 사안은 국익 및 외교 측면에서 민감한 요소로 발전할 수 있다.
프랑스 정부는 이번 사건에 대해 “정부 및 외교망 활용, 친프랑스 인사 동원, 사전 여론 작업” 등 조직적인 공작 가능성을 시인하였으며, 체코 방첩기관은 이 사건을 공식 보고서로 작성하여 체코 정부 및 EU 차원의 후속 대응이 주목되고 있다.
이번 사건은 외국 정부의 경제 공작이 국익 수주와 결합한 사례로, EU 내에서의 감시 및 규제가 강화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한국 기업의 해외 수주 전략에 있어 정보 보호, 여론 대응 및 외교 채널 활용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향후 EU 및 체코 차원의 조사와 프랑스를 향한 외교 및 법적 대응이 이루어질 경우 글로벌 안보 환경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주요 용어 주석:
1. 두코바니 원전: 체코에서 진행 중인 원자력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
2. 가처분 신청: 법원에 특정 행위를 금지하거나 중지시켜 달라고 요청하는 법적 절차
3. 여론 조작: 대중의 인식을 특정 방향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비밀스러운 활동
(teomok1@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