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  광고문의 |  발행일: 2025-09-08



산업 & 기업

‘위고비·삭센다’ 5년간 111만 건 처방… 70%가 여성, 30~40대 집중

박성민 기자 (12kerren@gmail.com)


‘위고비·삭센다’ 5년간 111만 건 처방… 70%가 여성, 30~40대 집중

박성민 기자 (12kerren@gmail.com)




최초 작성일 : 2025-09-02 | 수정일 : 2025-09-02 | 조회수 : 3


‘위고비·삭센다’ 5년간 111만 건 처방… 70%가 여성, 30~40대 집중



2020년부터 2025년까지 비만 치료제인 ‘삭센다’와 ‘위고비’의 처방량이 111만 건을 넘었습니다. 이 중 여성 환자가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관련된 건강 우려와 사회적 문제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를 통해 이러한 비만 치료제의 현황과 이로 인한 사회적 이슈를 살펴보겠습니다.


최근 비만 치료제 ‘삭센다’와 ‘위고비’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 두 의약품은 다양한 유명인들의 사용 사례와 함께 큰 인기 를 끌고 있으며, 실제 처방량 또한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의 사용이 비만 환자에 국한되지 않고, 미용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늘어남에 따라 여러 가지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본 기사는 비만 치료제의 처방 현황과 관련 이슈를 정리하고자 합니다. 😊




비만 치료제의 급격한 증가 🤔


비만 치료제로 사용되는 ‘삭센다’와 ‘위고비’는 최근 5년 동안 총 111만 6694건의 처방 기록을 보였습니다. 특히, 이 두 약물은 연예인과 인플루언서들이 사용하며 대중에게 입소문을 타게 되었습니다. 보건복지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2020년 1월부터 2025년 6월까지의 처방 현황은 삭센다 72만 1310건, 위고비 39만 5384건으로 나타났습니다.


처방 환자의 특성을 살펴보면, 여성 환자가 71.5%를 차지하며 남성보다 두 배 이상 많습니다. 특히, 30대와 40대가 전체 환자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이 주요 소비층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러한 통계는 비만 관리와 다이어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더욱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처방 패턴과 지리적 스펙트럼 📊


비만 치료제의 처방은 지역적으로도 차이를 보입니다. 특히, 수도권인 서울과 경기도에서 처방량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데이터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지역별 비만 치료제 처방 현황































구분삭센다 처방 건수위고비 처방 건수비율
서울주요 비율주요 비율40.2%
경기주요 비율주요 비율23.5%
기타 지역기타 비율기타 비율36.3%


비만 치료제의 사용 우려 🧮


비만 치료제 사용에 있어 가장 큰 문제는 정상 체중자나 저체중자가 미용 목적의 처방을 받는 경우입니다. 이들에 대한 의사들의 체질량지수(BMI)에 대한 검증 절차가 허술하다는 비판이 존재하며, 결과적으로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상태가 양호한 환자들에게도 비만 치료제가 처방되고 있다는 주장이 점점 더 많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 사이에 보고된 이상사례는 1708건에 달하며, 삭센다 1565건, 위고비 143건에서 나타났습니다. 주요 부작용은 구역, 구토, 두통, 주사 부위의 발진 등 다양한 형태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들이 환자의 BMI와 건강 상태를 좀 더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건강보험정책과 향후 대책


비만 치료제 처방과 관련하여 서미화 의원은 “최근 소셜 미디어와 매체에서 ‘위고비 다이어트’라는 트렌드가 확산되고 있지만, 비만 환자 이외의 사용자들이 미용 목적으로 이 약물을 사용할 경우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라고 경고했습니다. 앞으로 국내에서는 비급여 전문 의약품임에도 불구하고 BMI 검증 절차를 보다 강화하고, 불법적인 처방을 방지하기 위한 관리 감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결론적으로, 비만 치료제의 사용 증가와 함께 관련된 우려도 점점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서, 국내 보건정책이 이 문제를 심각하게 다뤄야 하는 시점에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건강보험 정책과 함께 전문가들이 적절한 가이드를 제공하고, 의료계의 신뢰성을 높여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의료 서비스의 질 향상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모두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Author Photo
박성민 기자

(12kerren@gmail.com)

닉네임:
댓글내용:
추천글




📸 이미지 프롬프트 복사 완료!
이제 어떤 이미지 생성 도구로 이동하시겠어요?
🧠 ImageFX 🧪 Whi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