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달러화 가치가 주요 6개 통화 대비 상승하며 달러인덱스(DXY)가 98대로 올라섰습니다. 일본에서는 다카이치 사나에 후보의 자민당 총재 당선으로 '아베노믹스' 회귀 가능성이 제기되며 달러-엔 환율이 150엔선을 재돌파했습니다. 프랑스에서는 총리의 갑작스러운 사임으로 재정 불안 우려가 부각되며 유로화 가치가 하락했습니다.
뉴욕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가 주요 통화 대비 강세를 보였습니다. 미국 연방정부의 업무 일시 정지(셧다운)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일본의 정치적 변화와 프랑스의 재정 우려가 부각되면서 달러 강세를 견인했습니다. 특히 달러-엔 환율은 일본의 '아베노믹스' 회귀 가능성에 대한 전망이 나오면서 약 2개월 만에 150엔 선을 다시 돌파하며 급등했습니다.
달러 강세, yen 약세 전환 배경
6일 오후 4시 기준(미 동부시각), 뉴욕 외환시장에서 달러-엔 환율은 150.324엔으로, 전장 대비 2.864엔(1.942%) 급등했습니다. 이는 지난 8월 1일 이후 약 2개월 만에 150엔 선을 다시 넘어서는 수준입니다. 이러한 엔화 약세는 일본 집권 자민당 총재 선거 결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다카이치 사나에 후보 당선과 '아베노믹스' 회귀 전망
집권 자민당 총재로 다카이치 사나에 전 경제안보담당상이 사실상 확정되면서 엔화 가치가 약세 압력을 받았습니다. 다카이치 총재는 과거 아베 신조 전 총리의 통화 완화 및 적극적 재정 정책 기조인 '아베노믹스'를 계승할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그의 핵심 경제 고문인 혼다 에쓰로 역시 일본은행(BOJ)의 금리 인상 시점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보였습니다. 혼다 고문은 10월 금리 인상은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12월 0.25%포인트 인상 정도는 문제없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는 달러-엔 환율에 대해 150엔을 넘는 것은 다소 지나치다고 평가하기도 했습니다.
미국 셧다운 장기화 및 프랑스 정국 불안 '더블 악재'
한편, 달러화 자체의 강세 요인도 작용했습니다. 미국 연방정부의 업무 일시 정지(셧다운)가 6일째 이어지면서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지만, 돌파구는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백악관 대변인은 셧다운이 장기화될 경우 해고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프랑스 총리 사임, 유로존 재정 우려 고조
유럽에서도 프랑스발 재정 우려가 부상했습니다. 엘리제궁은 세바스티앵 르코르뉘 프랑스 총리가 임명된 지 불과 27일 만에 사임했다고 밝혔습니다. 르코르뉘 총리 역시 재정 적자를 고려한 긴축 재정안을 추진했으나 야당의 거센 반발에 부딪힌 바 있습니다. 이에 따라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르코르뉘 총리에게 야당과의 협상을 주문했으며, 향후 새로운 총리 지명 또는 조기 총선 여부를 결정할 예정입니다.
프랑스 정국의 불안은 유로존 전체의 재정 우려를 고조시키며 유로화 약세로 이어졌습니다. 독일과 프랑스 등 유로존 주요 국가의 국채 금리가 상승했으며, 유로-달러 환율은 런던 시장에서 1.16510달러까지 하락했습니다.
주요 통화 및 환율 동향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달러인덱스(DXY)는 전장 대비 0.406포인트(0.416%) 상승한 98.118을 기록했습니다. 유로-달러 환율은 1.17106달러로 전장 대비 0.259% 하락했으며, 파운드-달러 환율은 1.34817달러로 소폭 하락했습니다. 역외 달러-위안(CNH) 환율은 7.1417위안으로 0.081% 소폭 상승했습니다.
- 달러-엔: 150.324엔 (전장 대비 1.942% 상승)
- 달러인덱스(DXY): 98.118 (전장 대비 0.416% 상승)
- 유로-달러: 1.17106달러 (전장 대비 0.259% 하락)
- 파운드-달러: 1.34817달러 (전장 대비 0.010% 하락)
- 역외 달러-위안(CNH): 7.1417위안 (전장 대비 0.081% 상승)
향후 시장 전망
미국 셧다운의 장기화 여부는 달러화의 추가 상승 혹은 변동성 확대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일본의 경우, 다카이치 후보의 집권이 가시화되면서 '아베노믹스'의 회귀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 엔화 약세 기조가 이어질지 주목됩니다. 특히 일본은행의 통화정책 방향과 재정 부양책 발표 시점이 환율에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프랑스의 정치적 불확실성은 유로존 경제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키며 유로화 약세를 지속시킬 수 있습니다. 시장 참여자들은 각국의 정치적 결정과 경제 지표 발표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환율 변동성에 대비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