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잭슨홀 연설 후 관망세 속에 하락 마감했습니다. 시장은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경계감을 재확인했으며, 파월 의장의 발언이 전적으로 비둘기파적이지 않다는 해석과 함께 향후 경제 지표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습니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주요 3대 주가지수가 25일(미국 동부시간) 일제히 하락세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잭슨홀 심포지엄 연설을 소화하는 과정에서 시장 참가자들의 9월 금리 인하 기대감이 다소 진정되면서 경계감이 고개를 들었습니다.
파월 의장 발언 속 9월 금리 인하 기대감 조정 📉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349.27포인트(0.77%) 하락한 45,282.47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27.59포인트(0.43%) 떨어진 6,439.32를 기록했으며, 나스닥종합지수 역시 47.24포인트(0.22%) 내린 21,449.29에 거래를 종료했습니다.
앞서 파월 의장은 지난 22일 잭슨홀 연설에서 "실업률과 기타 노동시장 지표의 안정성을 고려하면 정책 기조 변경을 신중히 검토할 수 있다"고 언급하며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또한 "정책이 제약적 영역에 있는 상황에서 기본 전망과 위험 균형의 변화는 정책 기조 조정을 정당화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러한 발언은 시장에서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해석되며, 직전 거래일 주요 주가지수가 1% 넘게 급등하는 요인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날 시장은 파월 의장의 발언이 전적으로 비둘기파적이지는 않으며, 9월 회의 전까지 발표될 경제 지표들이 더욱 중요해졌다는 인식이 확산되며 경계감을 보였습니다. 파월 의장의 발언 직후 90%를 넘었던 9월 기준금리 25bp 인하 확률은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 기준 84.3%로 소폭 하락하며 안정을 찾았습니다.
업종별 혼조세 속 빅테크 일부 강세 📈
업종별로 살펴보면, 통신서비스와 에너지 부문을 제외한 대부분의 업종에서 하락세가 나타났습니다. 특히 필수소비재, 의료건강, 산업, 유틸리티 등은 1% 이상 하락하며 상대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 -0.77%
- S&P500지수: -0.43%
- 나스닥종합지수: -0.22%
- 필수소비재: -1% 이상
- 의료건강: -1% 이상
- 산업: -1% 이상
- 유틸리티: -1% 이상
반면, 시가총액 1조 달러 이상의 거대 기술기업(빅테크) 중에서는 엔비디아, 알파벳, 테슬라가 1%대의 강세를 기록하며 시장 하락 속에서도 선방했습니다.
미국의 인공지능(AI) 방산업체인 팔란티어는 이날 장중 5.9%까지 낙폭을 늘렸으나, 약보합세로 마감하며 하락세를 제한했습니다. 팔란티어는 지난 12일 190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이후 하방 압력을 받고 있으며, 파월 의장의 비둘기파적 발언으로 증시 전체가 급등했던 지난 22일에도 1.64% 상승에 그치는 등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지 못하는 모습이었습니다.
미국 반도체 기업인 인텔은 1% 하락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 정부가 인텔과 같은 거래를 하는 기업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인텔은 미국으로부터 반도체 보조금을 받는 대가로 회사 지분 10%를 제공하는 데 합의했으나, 최근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공시를 통해 이러한 결정에 대한 외부의 부정적 반응과 해외 매출에 미칠 악영향을 우려한다고 밝혔습니다.
우량주 위주로 구성된 다우존스30 지수 종목 중에서는 엔비디아, 셰브런, 나이키를 제외한 대부분의 종목이 하락했으며, 하락폭은 대체로 1% 내외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0.57포인트(4.01%) 상승한 14.79를 기록하며 시장의 불안감이 일부 반영되었습니다.
향후 시장 전망 및 주요 관심사 🧐
제롬 파월 의장의 잭슨홀 연설 이후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시장의 기대치가 조정을 받으면서, 투자자들의 시선은 향후 발표될 주요 경제 지표와 연준의 통화 정책 결정에 더욱 집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물가 상승률과 고용 시장 관련 지표가 향후 금리 결정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시장 분석가들은 연준의 금리 인하 결정 시점이 불확실해짐에 따라 투자자들이 더욱 신중한 접근을 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습니다. 특히 9월 FOMC 회의까지 남은 기간 동안 발표될 소비자물가지수(CPI), 생산자물가지수(PPI), 비농업부문 고용자 수 등의 경제 지표 발표에 따라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