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부진과 'K-원전' 불공정 계약 논란으로 코스피가 2% 넘게 급락했으나, 기관의 대규모 저가 매수세에 힘입어 낙폭을 크게 줄이며 3,130선에서 마감했습니다. 원전 관련주는 장중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지만, 증권가의 '악재 선반영' 분석에 반등하며 시장 회복에 기여했습니다.
20일 국내 증시는 미국 증시의 부진한 흐름과 더불어 'K-원전' 불공정 계약 논란이라는 복합적인 악재가 겹치며 큰 폭으로 하락 출발했습니다.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 모두 개장 초부터 약세를 면치 못했으며, 특히 원전 관련주들이 급락하며 투자 심리를 위축시켰습니다. 하지만 오후 들어 기관 투자자들의 적극적인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지수는 낙폭을 상당 부분 만회하는 데 성공하며 거래를 마쳤습니다.
코스피, 3,100선 '털썩'…기관 매수에 낙폭 축소 📉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1.47포인트(0.68%) 내린 3,130.09로 장을 마쳤습니다. 장중에는 3,079.27까지 밀리며 지난 4월 말 이후 처음으로 50일 이동평균선을 하향 돌파하기도 했습니다. 코스닥 지수 역시 10.35포인트(1.31%) 하락한 777.61로 마감하며 시장 전반의 약세를 반영했습니다.
시장은 개장 초부터 미국 기술주 약세와 국내 주도주에 대한 차익실현 압박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여기에 더해, 체코 원전 사업 계약이 불공정하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관련 종목들이 급락세로 돌아섰습니다.
- 코스피: 3,130.09 (전일 대비 -0.68%)
- 코스닥: 777.61 (전일 대비 -1.31%)
특히 원전 밸류체인 전반에 걸쳐 큰 충격이 발생했습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장중 10% 넘게 폭락하는가 하면, 한전기술, 한전KPS 등 관련 기업들도 큰 폭의 하락세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국내 원전 사업의 공정성 문제를 부각시키며 투자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원전 불공정 논란, '악재 선반영' 분석 속 반등 📈
하지만 증권가를 중심으로 체코 원전 사업 논란이 새로운 악재라기보다는 이미 시장에 일부 반영된 내용이며, 한국 원전의 근본적인 경쟁력은 훼손되지 않았다는 분석이 제기되었습니다. 이러한 전망에 힘입어 원전 관련주들은 장중 저점 대비 상당한 낙폭을 만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두산에너빌리티(-3.53%), 한전기술(-3.65%) 등은 장중 크게 하락했던 주가에서 상당 부분 회복하며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는 시장 참여자들이 단기적인 이슈에 흔들리기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의 펀더멘털을 평가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준 것으로 해석됩니다.
한편, 정부가 '마스가 프로젝트'(MASGA) 지원 방침을 밝힌 조선 업종에서는 긍정적인 흐름이 나타났습니다.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일부 종목이 강세를 보였는데, 삼성중공업은 1.34% 상승 마감했습니다. HD한국조선해양(-1.55%), 한화오션(-0.75%) 등도 장중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으나, 오후 들어 낙폭을 크게 줄이며 시장 회복세에 동참했습니다.
기관, 5천억 원 순매수…수급 불균형 지속 ⚖️
수급 주체별로는 기관 투자자들이 홀로 5천162억 원을 순매수하며 지수 하락 방어에 적극적으로 나섰습니다. 이는 시장의 불안정한 심리 속에서도 저가 매수 기회를 포착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됩니다. 반면 개인 투자자들은 3천927억 원, 외국인 투자자들은 2천326억 원을 순매도하며 차익 실현 또는 위험 회피 심리를 드러냈습니다.
- 기관: 5,162억 원 순매수
- 개인: 3,927억 원 순매도
- 외국인: 2,326억 원 순매도
또한, 달러-원 환율이 다시 1,400원 선에 근접하며 외국인 투자자들의 국내 증시 투자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제기되었습니다. 환율 상승은 외국인 투자자금의 환차손 우려를 키우며 수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전문가, '모멘텀 소진' 진단…현금 비중 확대 조언 💡
전문가들은 현재 국내 증시가 올해 상승을 견인했던 정책 기대감이 희석되고, 주도주를 둘러싼 여러 이슈가 발생하며 모멘텀이 소진된 국면에 진입했다고 진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단기적으로는 급격한 시장 반등보다는 변동성이 큰 장세가 이어질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투자자들은 높은 현금 비중을 유지하면서, 독과점적 지위를 확보하고 꾸준한 실적을 내는 개별 기업에 집중하는 전략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금리 인하 시점의 불확실성과 지정학적 리스크 등 대외 변수가 국내 증시에 계속해서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또한, 국내 기업들의 실적 개선 여부와 정부 정책의 효과가 시장의 방향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