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  광고문의 |  발행일: 2025-09-06



문화경제신문

골드바 관세의 불확실성, 국제 금시장에 혼란

천경선 기자 (latte1971@gmail.com)


골드바 관세의 불확실성, 국제 금시장에 혼란

천경선 기자 (latte1971@gmail.com)




최초 작성일 : 2025-08-12 | 수정일 : 2025-08-12 | 조회수 : 10


 

 

국제 금값이 지난 11일(현지시간) 2.6% 급락하며 투자자들의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이는 스위스산 골드바가 관세 부과 대상이 아닐 수 있다는 기대감이 만들어낸 해프닝으로 분석되고 있다.

시카고파생상품거래소 그룹(CME) 산하 금속선물거래소 코멕스(COMEX)에서는 12월 인도분 금 선물이 전 거래일 결제가격인 3,491.30달러에서 88.10달러(2.6%) 하락한 3,403.20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시장의 관심은 금이 상호관세 대상에 포함되는지를 지켜보는 가운데, 최근의 보도가 금값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해석이다.

일간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미국 세관국경보호국(CBP)은 지난달 31일에 발행한 통관 결정서를 통해 1kg과 3.1kg짜리 골드바를 관세 부과 대상으로 분류했다고 발표했다. 업계에서는 금이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지만, 해당 보도로 인해 금의 공급 위축 우려가 커지며 금값에 부정적인 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세계 최대 금 제련 국가인 스위스의 상호관세가 39%에 달하는 점은 금 가격 변동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투자자들의 혼란이 커지면서, 미국 정부는 금에 대한 관세 부과 여부를 명확히 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킷코 메탈스의 수석 애널리스트 짐 와이코프는 "관세와 관련된 불확실성 속에서 시장이 처음에는 약간 상승했지만, 현재는 백악관의 추가 해명을 기다리며 불안한 매도세가 발생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결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1시 32분 자신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금에는 관세를 부과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하며 시장의 안정을 꾀했다. 이러한 발언은 금값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며, 시장의 주목을 끌고 있다.

✅ 주요 용어해설
1. 골드바: 금으로 제조된 바 형태의 금속
2. 상호관세: 두 국가 간 특정 품목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
3. CME: 시카고상품거래소(CME) 그룹

 

Tags  #경제  #금  #관세  #투자  #금가격  #스위스  #금융  #국제시장  #금속  #불확실성  

Author Photo
천경선 기자

(latte1971@gmail.com)

문화경제일보 경제부

닉네임:
댓글내용:
🎖️ '문화경제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인기글
추천글




📸 이미지 프롬프트 복사 완료!
이제 어떤 이미지 생성 도구로 이동하시겠어요?
🧠 ImageFX 🧪 Whi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