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의 주요 지수가 미국-중국 무역 긴장, 은행권 호실적, 금리 인하 기대감 등이 뒤엉키며 극심한 변동성 끝에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S&P500 지수는 장중 큰 폭의 등락을 거듭하다 소폭 상승했으며, 나스닥은 강세를 보인 반면 다우지수는 소폭 하락했습니다. 투자자들은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과 미중 무역 갈등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신중한 행보를 보였습니다.
15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7.15포인트(0.04%) 하락한 46,253.31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반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26.75포인트(0.40%) 오른 6,671.06, 나스닥종합지수는 148.38포인트(0.66%) 상승한 22,670.08에 장을 마감하며 대조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이날 뉴욕증시는 미국과 중국 간의 지속적인 무역 갈등, 주요 은행들의 호조를 보인 실적 발표, 그리고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극심한 변동성을 연출했습니다.
미중 무역 갈등, 시장의 불안 요인으로 작용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긴장은 여전히 완화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시장에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전날부터 양국은 상대국 선박에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 시작했으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산 식용유 수입 중단을 검토하겠다고 밝히는 등 긴장감은 고조되고 있습니다. 이미 11월 1일부터 중국산 수입품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기존 입장이 철회되지 않은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 고위 관계자들은 연이어 언론을 통해 중국에 대한 압박의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정학적 불확실성은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견조한 은행권 실적, 경제 펀더멘털 지지
반면, 주요 은행들의 강력한 3분기 실적은 미국 경제의 견고함을 시사하며 투자 심리 개선에 기여했습니다. 은행권은 전통적으로 기업 실적 발표의 선봉에 서며 경기 흐름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 역할을 합니다. 모건스탠리는 올해 3분기 주당순이익(EPS)과 매출이 시장 예상치를 크게 상회했으며, 매출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 역시 EPS와 매출에서 예상치를 웃돌며 개장 전부터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IB 부문 호황, 금융 시장 낙관론 시사
특히 모건스탠리와 뱅크오브아메리카 두 은행 모두 투자은행(IB) 부문의 수수료 수입이 크게 증가한 점은 주목할 만합니다. 이는 인수합병(M&A) 및 기업공개(IPO)와 같은 기업 금융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며, 전반적인 금융 시장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뒷받침하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AI 투자 확산, 미래 성장 동력 기대감
인공지능(AI) 설비 투자 산업에서도 긍정적인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빅테크 기업들뿐만 아니라 거대 금융회사들까지 AI 인프라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기대감을 높이고 있습니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과 엔비디아가 참여하는 AI 인프라 투자 컨소시엄은 데이터센터 설계 및 운영사인 '얼라인드 데이터 센터'를 400억 달러에 인수할 계획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AI 기술 발전과 관련 산업의 성장에 대한 시장의 높은 관심을 반영합니다.
- AI 인프라 투자 컨소시엄, '얼라인드 데이터 센터' 인수 추진
- 인수 규모: 400억 달러
- 참여 기관: 블랙록, 엔비디아 등
극심한 변동성 장세, 투자자 '냉탕과 온탕'
이처럼 긍정적인 요인과 부정적인 요인이 혼재하면서 주식 시장은 하루 동안 급등락을 반복하며 극심한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S&P500 지수는 장중 한때 1.20%까지 상승폭을 확대했으나, 이후 0.48%까지 밀려나는 등 큰 폭의 하락세로 전환하기도 했습니다. 결국 소폭의 상승세로 마감했지만, 이는 '롱 포지션'과 '숏 포지션' 모두에게 어려운 장세였음을 시사합니다.
미국 재무부 장관의 발언 또한 투자 심리에 다소 실망감을 안겨주었습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언론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높은 주가를 좋아하지만, 증시 하락을 협상 카드로 사용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우리는 미국 경제에 가장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협상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무역 협상과 관련하여 시장이 기대했던 유화적인 신호가 아니었음을 보여줍니다.
미중 무역 갈등의 지속적인 전개 상황과 기업들의 실적 발표 결과가 향후 시장 방향성을 결정하는 주요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연준의 금리 인하 시점 및 폭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이 현실화될지 여부도 중요한 관전 포인트입니다. 투자자들은 단기적인 시장 변동성에 유의하며 신중하게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할 것입니다.
업종별 혼조세, 기술주 및 금융주 희비
업종별로 살펴보면, 통신서비스, 유틸리티, 부동산 관련 업종이 1% 이상 상승하며 강세를 보였습니다. 반면, 산업, 금융, 에너지, 소재 관련 업종은 하락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시가총액 1조 달러 이상을 자랑하는 거대 기술기업(Big Tech)들은 혼조세를 나타냈습니다.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은 약보합 수준에 머물렀으나, 알파벳, 브로드컴, 오라클 등은 2% 안팎의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금융주 강세, 반도체주 급등
은행 업종은 전반적으로 강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JP모건체이스는 2% 가까이 상승했으며, 뱅크오브아메리카는 4% 이상, 모건스탠리는 4% 넘게 뛰어올랐습니다. 이는 앞서 언급된 견조한 실적 발표의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3% 급등하며 랠리를 펼쳤습니다. 실적 발표를 앞둔 TSMC는 3% 올랐고, ASML 역시 2.71% 상승했습니다. 특히 AMD는 9.40%라는 폭발적인 상승률을 기록하며 시가총액 4천억 달러에 육박하는 기염을 토했습니다.
금리 인하 기대감 지속, VIX 지수 하락
이러한 시장 상황 속에서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은 여전히 높게 유지되고 있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12월까지 기준금리가 50bp 인하될 확률은 94.9%로 반영되고 있습니다. 이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비둘기파적인 발언에 힘입어 연내 두 차례의 금리 인하가 사실상 기정사실화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12월 기준금리 50bp 인하 확률: 94.9%
- 연내 2회 금리 인하 가능성 높음
한편, 시장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 대비 0.17포인트(0.82%) 하락한 20.64를 기록하며 다소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