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이틀 연속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증시 고평가' 발언과 엔비디아-오픈AI의 대규모 투자 계약에 대한 'AI 거품론' 의구심이 시장 하락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개별 기업들의 희비가 엇갈리는 장세가 펼쳐졌습니다.
뉴욕증시의 주요 주가지수가 이틀째 동반 하락하며 약세 흐름을 이어갔습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증시 고평가' 발언이 시장에 잔향을 남긴 가운데, 인공지능(AI) 분야의 대규모 투자에 대한 'AI 거품론' 의구심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습니다.
파월 의장 발언 및 AI 거품론, 시장 하락 부추겨 📉
24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171.50포인트(0.37%) 하락한 46,121.28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8.95포인트(0.28%) 밀린 6,637.97, 나스닥종합지수는 75.62포인트(0.33%) 떨어진 22,497.86에 장을 마쳤습니다. 이는 주요 주가지수가 이틀 연속 약세를 보인 결과입니다.
시장에 이미 주가지수가 고평가되었다는 인식이 팽배했던 상황에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상당히 고평가된 것 같다"고 발언한 점은 시장의 조정 빌미가 되었습니다. 실제로 S&P500 지수는 이틀간 0.8% 하락했으며, 나스닥 지수는 1% 이상 떨어지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엔비디아-오픈AI 계약, '순환출자' 의혹 증폭
주가 고점 인식과 더불어 AI 산업 자체의 거품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특히 엔비디아와 오픈AI가 체결한 1천억 달러 규모의 공급 계약이 실질적으로는 '순환출자' 구조라는 지적이 나오면서 위험 회피 심리가 강해졌습니다.
엔비디아와 오픈AI의 거래는 엔비디아가 오픈AI에 자금을 지원하고, 오픈AI가 수익을 창출하면 이를 통해 엔비디아 칩을 구매하는 형태로 이루어집니다. 월가에서는 이러한 구조가 과거 닷컴 버블 당시 일부 통신 장비 업체들이 매출 유지를 위해 특정 기업에 자금을 지원하고 해당 자금으로 장비를 구매하게 했던 사례와 유사하다고 지적합니다. 이러한 '돌려막기'식 거래는 거품 붕괴를 앞두고 나타날 수 있다는 경고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개별 기업 희비, 실적과 전망에 따라 갈려 엇갈린 주가 움직임 📊
이러한 시장 분위기 속에서도 개별 기업들의 주가 움직임은 엇갈렸습니다. 미국 데이터베이스 인프라 기업 오라클은 180억 달러 규모의 채권 발행 소식이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며 주가가 내림세를 보였습니다.
업종별로는 소재와 부동산이 1% 이상 하락한 반면, 에너지는 1.23% 상승하며 상대적인 강세를 나타냈습니다. 시가총액 1조 달러 이상의 거대 기술기업 중에서는 엔비디아, 애플, 아마존, 알파벳 등이 1% 안팎으로 하락했지만, 테슬라는 4% 급등하며 눈길을 끌었습니다.
- 엔비디아, 애플, 아마존, 알파벳: 1% 내외 하락
- 테슬라: 4% 급등
- 알리바바: 9% 가까이 상승 (AI 투자 확대 발표)
- 리튬 아메리카스: 95% 폭등 (트럼프 행정부 지분 인수 추진 소식)
- 마이크론: 3% 가까이 하락 (견조한 실적에도 AI 거품론 경계)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알리바바는 예상보다 AI 투자를 더 늘리겠다고 밝히면서 주가가 9% 가까이 올랐습니다. 캐나다 광산 채굴업체 리튬 아메리카스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지분 인수를 추진한다는 소식에 주가가 무려 95% 폭등하는 기염을 토했습니다. 반면, 마이크론은 견조한 실적을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AI 거품론에 대한 경계감 속에 3% 가까이 하락했습니다.
향후 시장 전망 및 변수 📈
이날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지난 19일까지 일주일간 미국 상업용 원유 재고가 60만 7천 배럴 감소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시장 예상치였던 80만 배럴 증가와는 상반된 결과로, 유가 변동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입니다.
한편,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현재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12월까지 기준금리가 50bp 인하될 확률을 75.2%로 반영하고 있어,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날 마감 무렵의 75.1%와 큰 차이가 없는 수치입니다.
현재 뉴욕증시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매파적 발언과 AI 산업의 밸류에이션에 대한 의구심이 겹치면서 변동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엔비디아와 오픈AI의 거래 구조에 대한 논란이 지속될 경우, AI 관련주 전반에 대한 투자 심리가 더욱 악화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개별 기업의 실적 발표와 더불어 거시 경제 지표 및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을 면밀히 주시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유가 변동성 및 지정학적 리스크 또한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 대비 0.46포인트(2.76%) 하락한 16.18을 기록하며 시장의 전반적인 변동성이 다소 완화되었음을 나타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