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금 선물 가격이 사상 처음으로 트로이온스당 4,100달러를 돌파하며 4,129.30달러에 거래되었습니다. 이는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긴장 고조로 인한 안전자산 수요 증가와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주요 투자은행들은 향후 금 가격 추가 상승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국제 금 선물 가격이 역사적인 고점을 경신하며 4,100달러 선을 넘어섰습니다. 이는 지정학적 불확실성과 주요국 통화 정책 변화에 대한 시장의 민감한 반응을 여실히 보여줍니다. 투자자들은 연일 고조되는 미중 무역 갈등 속에서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 금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금값, 사상 최고치 경신 행진 📈
13일(현지시간) 시카고파생상품거래소그룹(CME) 산하 금속선물거래소 코멕스(COMEX)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GCZ5)은 트로이온스당 4,129.30달러를 기록하며 사상 처음으로 4,100달러 선을 돌파했습니다. 이는 직전 결제 가격인 4,000.40달러 대비 128.90달러(3.22%) 상승한 수치입니다. 국제 금 가격의 이러한 가파른 상승세는 최근 몇 달간 이어져 온 여러 거시경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됩니다.
특히,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 심화는 투자 심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0일, 중국의 희토류 수출 규제에 대한 대응으로 다음 달부터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100%포인트 인상하겠다고 밝힌 것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러한 소식은 글로벌 공급망 불안과 세계 경제 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키며,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는 금에 대한 수요를 견인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금값 상승 견인하는 복합적 요인들 🌐
국제 금 가격의 상승 동력은 단순히 미중 무역 갈등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블루라인퓨처스의 수석 시장 전략가인 필립 스트라이블은 현재 금 시장에 구조적인 지지력을 제공하는 몇 가지 핵심 요인을 제시했습니다.
- 중앙은행의 꾸준한 금 매입: 글로벌 중앙은행들은 외환보유고 다변화 및 금리 인상 시기 불확실성 속에서 금 보유량을 꾸준히 늘리고 있습니다.
- 금 상장지수펀드(ETF)로의 탄탄한 자금 유입: 투자자들의 금 ETF로의 자금 유입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며 시장 유동성과 금 가격 상승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미중 무역 갈등: 관세 인상 등 무역 분쟁 격화는 안전자산 선호 심리를 자극하며 금 수요를 증대시키고 있습니다.
- 미국의 금리 인하 가능성: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가능성은 달러화 약세와 함께 금의 매력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이처럼 중앙은행의 금 매입 확대, 금 ETF로의 꾸준한 자금 유입, 그리고 미중 무역 갈등 심화와 더불어 미국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까지, 다양한 요인들이 현재 금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특히, 금리가 인하될 경우 실질 금리가 낮아지면서 이자 수익이 없는 금의 상대적 매력이 부각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전문가들, 금값 추가 상승 전망 📊
현재 금 시장의 긍정적인 전망은 분석기관들의 예측에서도 뒷받침되고 있습니다. 세계 유수의 투자은행들은 향후 금 가격의 추가적인 상승을 예상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 뱅크오브아메리카(BofA) & 소시에테제네랄(SG): 2026년 금 가격 5,000달러 도달 예상
- 스탠다드차타드(SC): 내년 평균 금 가격 4,488달러 전망
뱅크오브아메리카(BofA)와 소시에테제네랄(SG)은 오는 2026년까지 금 가격이 5,000달러 수준까지 오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는 현재 가격 대비 상당한 상승폭을 의미하며, 장기적인 금 투자 매력을 시사합니다. 스탠다드차타드(SC) 역시 내년 평균 금 가격을 4,488달러로 전망하며, 단기적으로도 금값 상승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러한 전문가들의 예측은 현재 시장 상황이 일시적인 현상이 아닌, 구조적인 변화에 따른 것임을 보여줍니다.
향후 금 가격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 방향, 미중 무역 협상 결과, 그리고 지정학적 리스크의 지속 여부에 따라 변동성을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전반적인 안전자산 선호 심리 강화와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증가는 금 가격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거시경제 변수들을 면밀히 주시하며 투자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