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  광고문의 |  발행일: 2025-10-24



문화경제신문

[뉴욕 금가격] 금리 인하 기대감 솔솔... 국제 금값 0.9% 반등

천경선 기자 (latte1971@gmail.com)


[뉴욕 금가격] 금리 인하 기대감 솔솔... 국제 금값 0.9% 반등

천경선 기자 (latte1971@gmail.com)




최초 작성일 : 2025-09-27 | 수정일 : 2025-09-29 | 조회수 : 999


[뉴욕 금가격] 금리 인하 기대감 솔솔... 국제 금값 0.9% 반등
핵심 요약
미국의 8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시장 기대치에 부합하며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을 되살렸습니다. 이에 따라 12월 인도분 금 선물이 온스당 3,804.60달러로 0.89% 상승했습니다. 달러 약세 또한 금 가격 상승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국제 금 가격이 미국의 인플레이션 지표가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면서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정책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다시 살아나자 1% 가까이 상승했습니다. 달러 약세 또한 금 가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금리 인하 기대감, 금값 상승 견인

26일(현지시간) 오후 12시 30분 기준, 시카고파생상품거래소그룹(CME) 산하 금속선물거래소 코멕스(COMEX)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GCZ5)은 전장 대비 33.50달러(0.89%) 오른 트로이온스(1ozt=31.10g)당 3,804.60달러에 거래되었습니다. 이는 최근 발표된 미국의 주요 경제 지표가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에 힘입은 결과입니다.

PCE 가격지수, 시장 전망치에 부합

미 상무부가 발표한 8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3%,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했습니다. 특히 연준이 중요하게 고려하는 근원 PCE 가격지수는 각각 0.2%, 2.9% 상승으로, 모두 시장의 예상 범위 내에 포함되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인플레이션이 점진적으로 완화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연준이 금리 인하를 고려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합니다.

8월 미국 PCE 가격지수
  • 전월 대비 상승률: 0.3%
  •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 2.7%
  • 근원 PCE 가격지수 (전년 동월 대비): 2.9%

(출처: 미국 상무부)

전문가, 연준의 신중한 금리 인하 전망

독립 금속 트레이더인 타이 웡(Tai Wong)은 이번 PCE 지표 결과에 대해 "월간 PCE 지표는 예상과 일치했지만, 개인소득과 지출은 예상보다 0.1%포인트 높게 나왔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수치 상승이 연준의 10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금리 인하를 막을 정도는 아닐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는 연준이 데이터를 면밀히 검토하며 신중하게 통화정책을 결정할 것이라는 전망을 뒷받침합니다.

타이 웡 (독립 금속 트레이더)는 "월간 PCE 지표는 예상과 일치했지만, 개인소득과 지출은 예상보다 0.1%포인트 높게 나왔다"면서도, "연준이 10월 회의에서 또 한 번 신중하게 금리를 인하하는 것을 막지는 못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달러 약세, 금 투자 매력 높여

한편,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인덱스(DXY)는 금리 인하 기대감을 반영하며 98.2 수준까지 하락했습니다. 금은 일반적으로 달러로 거래되기 때문에, 달러 가치가 하락하면 다른 통화를 보유한 투자자들에게는 금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해집니다. 이는 금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이어질 수 있으며, 현재 금 가격 상승의 또 다른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용어 설명: 달러인덱스(DXY)란?
달러인덱스(Dollar Index, DXY)는 미국 달러의 가치를 유로, 일본 엔, 영국 파운드, 캐나다 달러, 스웨덴 크로나, 스위스 프랑 등 6개 주요 통화 바스켓과 비교하여 측정하는 지수입니다. 이 지수는 미국 달러의 전반적인 강세를 나타내는 주요 지표로 활용됩니다.

향후 시장 전망 및 유의점

이번 금 가격의 상승은 단기적으로는 미국 경제 지표와 연준의 금리 정책 기대감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됩니다. 투자자들은 향후 발표될 미국 경제 지표와 연준 위원들의 발언을 예의주시하며 금리 경로에 대한 변화를 감지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지정학적 리스크나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고조될 경우 안전 자산으로서 금의 매력이 더욱 부각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 향후 전망 및 리스크
미국 경제 지표의 변동성, 연준의 통화정책 기조 변화, 지정학적 불안정 등은 금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거시 경제 환경 변화를 면밀히 주시하며 신중한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Tags  #경제  #금  #가격  #금리  #인하  #연준  #PCE  #가격지수  #달러인덱스  #COMEX  #금  #선물  #뉴욕  #금시세  #국제  #금값  #안전  #자산  #통화  #정책  

Author Photo
천경선 기자

(latte1971@gmail.com)

문화경제일보 경제부

닉네임:
댓글내용:
🎖️ '문화경제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인기글

📸 이미지 프롬프트 복사 완료!
이제 어떤 이미지 생성 도구로 이동하시겠어요?
🧠 ImageFX 🧪 Whi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