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  광고문의 |  발행일: 2025-10-22



문화경제신문

알리바바 AI 칩, 차이나유니콤 품었다… 주가 훈풍 탄 사연

천경선 기자 (latte1971@gmail.com)


알리바바 AI 칩, 차이나유니콤 품었다… 주가 훈풍 탄 사연

천경선 기자 (latte1971@gmail.com)




최초 작성일 : 2025-09-18 | 수정일 : 2025-09-18 | 조회수 : 1003


알리바바 AI 칩, 차이나유니콤 품었다… 주가 훈풍 탄 사연
핵심 요약
알리바바의 자체 AI 칩(AI 가속기)이 중국 2위 통신사 차이나유니콤의 대규모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에 도입될 예정입니다. 이 소식으로 알리바바의 주가는 뉴욕 증시 개장 전 거래에서 2.42% 상승했으며, 홍콩 증시에서도 5% 이상 올랐습니다. 이는 엔비디아 칩 접근성 불확실성과 중국 정부의 자국 칩 사용 권장 기조 속에서 중국 기업들의 자체 AI 칩 생태계 확대 움직임을 보여줍니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NYS:BABA)가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 칩을 공급할 대형 고객사를 성공적으로 확보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17일(현지시간) 뉴욕 증권거래소에서 알리바바의 주식예탁증서(ADR)는 개장 전 거래에서 전 거래일 대비 2.42% 상승한 166.140달러에 거래되며 강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최근 알리바바 주가의 괄목할 만한 상승세에 힘을 더하는 요인이 되었습니다.

알리바바 AI 칩, 차이나유니콤 대규모 프로젝트 공급

중국 국영방송 CCTV의 보도에 따르면, 알리바바의 반도체 사업 부문인 핑터우거(平头哥)가 개발한 AI 가속기 칩이 중국 내 주요 통신업체인 차이나유니콤(China Unicom)의 대규모 데이터센터 프로젝트에 도입될 예정입니다. 알리바바는 칩을 직접 판매하는 방식이 아닌, 기업들이 알리바바 클라우드 서비스를 구매함으로써 해당 반도체가 제공하는 강력한 연산 능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델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공급 계약은 알리바바의 AI 기술력과 클라우드 서비스의 시너지를 입증하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주가 급등세, 두 달 만에 60% 이상 상승

이번 AI 칩 공급 소식은 알리바바의 주가에 즉각적인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홍콩 증시에서 알리바바의 주가는 5% 이상 상승 마감하며 투자 심리를 고조시켰습니다. 실제로 알리바바의 주가는 최근 몇 달간 뚜렷한 상승세를 보여왔습니다. 지난 7월 초 103달러 수준이었던 주가는 불과 두 달 만에 60% 이상 급등하는 놀라운 성과를 기록하며, 시장에서 알리바바의 성장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습니다.

시장 분석가 B씨는 "이번 차이나유니콤과의 계약은 알리바바가 단순히 전자상거래 기업을 넘어 첨단 AI 기술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차이나유니콤은 중국 내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를 자랑하는 통신사로서, 이번 대규모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추진에 있어 알리바바 클라우드의 컴퓨팅 파워와 AI 칩 기술력을 적극 활용할 계획입니다. 이 프로젝트에는 알리바바의 AI 칩 외에도 메타X(MetaX)를 포함한 여러 중국 반도체 기업들의 칩도 함께 적용될 예정으로, 중국 내 AI 반도체 생태계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 자체 AI 칩 생태계 구축 가속화

최근 글로벌 반도체 시장, 특히 AI 칩 분야는 미국 엔비디아(Nvidia)의 독주 속에 지정학적 요인으로 인한 공급망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엔비디아의 첨단 AI 칩에 대한 중국 기업들의 접근성이 제한되면서, 중국 내에서는 자체 AI 칩 개발 및 도입 움직임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중국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맞물려 더욱 강화되는 추세입니다.

💡 용어 설명: AI 가속기(AI Accelerator)
인공지능(AI) 연산, 특히 딥러닝과 머신러닝 모델의 학습 및 추론 과정을 일반 CPU보다 훨씬 빠르게 처리하도록 설계된 특수 목적의 반도체입니다. GPU, TPU, NPU 등이 대표적인 예이며, AI 서비스 확산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실제로 중국 인터넷 규제 기관인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CAC)은 최근 일부 중국 기업들에게 특정 엔비디아 칩의 구매를 중단하라고 지시한 사실이 보도되면서, 이러한 정책적 기조가 더욱 분명해졌습니다. 이는 중국 정부가 핵심 기술 자립을 더욱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국내 반도체 기업들의 기술 개발 및 시장 확대 노력을 촉진하는 배경이 되고 있습니다.

알리바바 AI 사업 현황
  • AI 모델 개발: 중국 내 주요 AI 기업 중 하나로 자체 AI 모델 다수 개발
  • 클라우드 컴퓨팅: 중국 최대 규모의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 운영
  • 반도체 부문: 핑터우거(平头哥)를 통한 AI 칩(AI 가속기) 자체 개발

알리바바는 이미 중국 내에서 선도적인 AI 기업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자체 AI 모델을 성공적으로 개발하고, 중국 최대 규모의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을 운영하며 AI 기술 상용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이번 핑터우거가 개발한 AI 가속기의 대형 고객사 확보는 알리바바가 하드웨어부터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서비스까지 아우르는 AI 생태계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사례로 풀이됩니다.

향후 전망 및 시장 영향

이번 알리바바의 AI 칩 공급 계약은 중국 내 AI 반도체 시장 경쟁 구도에 significant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엔비디아의 영향력이 간접적으로 약화되는 가운데, 알리바바를 비롯한 중국 현지 기업들의 자체 칩 기술 개발 및 시장 점유율 확대가 더욱 가속화될 것입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글로벌 AI 칩 시장의 다변화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 향후 전망 및 리스크
알리바바의 자체 AI 칩 기술력과 클라우드 서비스 연계 전략은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합니다. 그러나 미중 기술 갈등 심화, 글로벌 경기 침체 가능성, 경쟁 심화 등은 알리바바의 성장에 잠재적인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중국 정부의 정책 변화 및 규제 강화 여부도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합니다.

전문가들은 알리바바가 이번 계약을 발판 삼아 더욱 많은 중국 기업들과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자사 클라우드 서비스 경쟁력을 높여나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는 중국 정부가 추진하는 첨단 기술 자립 정책에 대한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촉매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알리바바의 AI 칩 전략이 중국 IT 산업 전반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올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Tags  #경제  #알리바바  #AI  #칩  #차이나유니콤  #핑터우거  #AI  #가속기  #클라우드  #컴퓨팅  #중국  #반도체  #엔비디아  #기술  #자립  #주가  #강세  #데이터센터  #IT  #산업  

Author Photo
천경선 기자

(latte1971@gmail.com)

문화경제일보 경제부

닉네임:
댓글내용:
🎖️ '문화경제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인기글

📸 이미지 프롬프트 복사 완료!
이제 어떤 이미지 생성 도구로 이동하시겠어요?
🧠 ImageFX 🧪 Whi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