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혼조세를 보인 가운데, 인공지능(AI) 산업 거품론에 대한 경계감이 고조되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1% 이상 하락했습니다. 오픈AI CEO의 발언과 중국의 칩 규제 움직임 등이 투자 심리를 위축시킨 요인으로 분석됩니다. 반면, 우량주 중심의 다우지수는 강보합으로 마감하며 대조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19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0.45포인트(0.02%) 오른 44,922.27에 거래를 마감하며 강보합세를 나타냈습니다. 그러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7.78포인트(0.59%) 밀린 6,411.37,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314.82포인트(1.46%) 떨어진 21,314.95에 장을 마쳤습니다. 이날 증시는 기술주와 우량주 간 뚜렷한 온도차를 보이며, 특히 AI 산업을 둘러싼 거품론이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며 기술주 전반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했습니다.
AI 거품론 확산, 기술주 투매 자극 💥
뉴욕증시에서 기술주가 일제히 하락세를 보인 배경에는 인공지능(AI) 산업의 과열 및 거품론에 대한 경계감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뚜렷한 악재가 부재한 상황에서도 AI 관련 기술주에 대한 매물이 쏟아진 것은, 고점 부담과 함께 AI 산업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투자자들의 의구심이 작용한 결과로 풀이됩니다.
오픈AI CEO의 '거품' 인정 발언
이러한 흐름에 기름을 부은 것은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 전날 기자 간담회에서 AI 산업에 거품이 끼었을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한 발언입니다. 올트먼 CEO는 "투자자들이 AI에 과도하게 흥분해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거품론을 인정하는 한편, "AI 기업들의 가치가 이미 통제 불능 수준"이라고 지적하며 시장의 경계감을 더욱 높였습니다.
중국의 칩 규제 및 미 정부 정책 변화 가능성 🇨🇳🇺🇸
기술주 하락에는 중국 정부의 외국산 칩 사용 제한 움직임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홍콩 매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공공 소유 데이터센터에 사용되는 컴퓨팅 칩의 절반 이상을 중국 업체로부터 공급받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판도 변화를 예고하는 동시에, 미국 반도체 기업들에게는 잠재적인 매출 감소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엔비디아, 중국 수출 AI 칩 가격 인상 검토
이러한 중국의 움직임과 맞물려, 엔비디아가 중국에 판매하는 AI 칩의 가격 인상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도 전해졌습니다. 대만 경제일보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중국향 그래픽칩 H20의 가격 인상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 정부가 중국 수출을 허용하는 조건으로 엔비디아 제품 매출의 15%를 미국 정부에 납부하도록 한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됩니다.
또한, 미국 정부의 보조금 지급 방식에 대한 정책 변화 가능성도 시장의 경계감을 자극했습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반도체 지원법(칩스법)에 따른 보조금이 향후 지분 투자로 전환될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우리가 지급하는 보조금이 무상이 아니라 지분을 얻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언급하며, 기술 기업들에 대한 정부 지원의 이면에 잠재된 통제 강화 가능성을 내비쳤습니다.
대형 기술주 일제히 하락, 개별 종목 희비 엇갈려 📉
AI 거품론과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겹치면서 시가총액 1조 달러 이상의 대형 기술주들은 대부분 하락 마감했습니다. 특히 AI 반도체 선두 주자인 엔비디아는 3.50% 하락했으며, 브로드컴 역시 3% 넘게 하락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테슬라 등 주요 빅테크 기업들도 1% 이상씩 하락하며 시장 전반의 약세를 이끌었습니다.
- 엔비디아: -3.50%
- 브로드컴: -3.00% (추정치)
- 마이크로소프트: -1.00% (추정치)
- 아마존: -1.20% (추정치)
- 테슬라: -1.50% (추정치)
- 팔란티어: -9.00% (5거래일 연속 하락, 총 낙폭 15% 이상)
- AMD: -5.44%
- Arm: -5.00%
AI 방산업체로도 알려진 팔란티어는 9% 넘게 급락하며 5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고, 이 기간 누적 낙폭은 15%를 넘어섰습니다. AMD는 5.44%, Arm은 5% 하락하며 기술주 전반의 부진을 여실히 보여주었습니다.
다우지수는 선방, 개별 종목 호재에 상승세 📈
반면, 우량주 중심의 다우지수는 상대적으로 선방하며 장 중에는 사상 최고치를 잠시 경신하기도 했습니다. 시장의 관심은 개별 기업의 실적 발표와 이에 따른 주가 움직임에도 쏠렸습니다.
홈디포, 예상 하회에도 동일점포 매출 증가세 주목
미국 대형 소매업체 홈디포는 2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소폭 하회했음에도 불구하고, 동일 점포 매출이 꾸준히 증가했다는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하며 주가는 4% 넘게 상승했습니다. 이는 소비 심리 둔화 우려 속에서도 특정 소비재 분야의 견조한 흐름을 시사하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번 주 예정된 월마트의 2분기 실적 발표 결과 역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월마트가 예상치를 웃도는 호실적을 발표할 경우, 글로벌 관세 불확실성이 완화되고 소비 시장 전반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업종별로는 기술 및 통신서비스 업종이 1% 이상 급락한 반면, 부동산 업종은 1.8% 상승하며 대조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인텔, 소프트뱅크 투자 소식에 7% 급등
개별 종목 중에서는 미국 반도체 생산업체 인텔이 7% 급등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는 일본 소프트뱅크가 약 20억 달러 규모로 인텔의 보통주를 매입했다는 소식이 호재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또한, 사이버 보안업체 팔로알토 네트웍스는 2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상회하며 주가가 3% 넘게 올랐습니다.
금리 인하 기대감은 유지, 시장 변동성 주의 📊
한편, 연방기금금리 선물 시장에서는 9월 기준금리가 25bp 인하될 확률을 84.8%로 반영하며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시장의 전반적인 변동성을 나타내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0.58포인트(3.87%) 상승한 15.57을 기록하며, 투자 심리가 다소 불안정함을 시사했습니다.
AI 거품론과 지정학적 리스크는 당분간 기술주 투자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기업별 펀더멘털과 밸류에이션을 면밀히 분석하고, 거시 경제 지표 및 중앙은행의 통화 정책 방향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개별 종목의 실적 발표 결과에 따라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으므로 신중한 투자 전략이 요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