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  광고문의 |  발행일: 2025-10-24



문화경제신문

[뉴욕유가] 공급 부담·수요 약화 우려 다시 부각…WTI 1.4%↓

천경선 기자 (latte1971@gmail.com)


[뉴욕유가] 공급 부담·수요 약화 우려 다시 부각…WTI 1.4%↓

천경선 기자 (latte1971@gmail.com)




최초 작성일 : 2025-09-20 | 수정일 : 2025-09-22 | 조회수 : 1005


[뉴욕유가] 공급 부담·수요 약화 우려 다시 부각…WTI 1.4%↓
핵심 요약
뉴욕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이 1.40% 하락한 배럴당 62.68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국제 석유 공급 과잉 및 수요 약화에 대한 우려가 금리 인하 기대감을 압도한 결과로 분석됩니다. 유럽의 지정학적 불안 완화로 공급 부담이 다시 부각되었으며, 미국 에너지 정보청(EIA)의 증류유 재고 증가 또한 수요 감소 신호로 해석되었습니다.

국제 유가가 공급 과잉 우려와 수요 둔화 전망에 직면하며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최근 국제 유가 상승 요인이었던 유럽의 지정학적 긴장이 완화되면서, 투자자들의 시선은 다시금 석유 시장의 근본적인 수급 불균형 문제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국제 유가, 복합적 요인으로 하방 압력

19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0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 대비 0.89달러, 1.40% 급락한 배럴당 62.68달러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이번 하락세는 국제 유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던 유럽의 지정학적 불안이 다소 완화된 틈을 타, 공급 과잉 및 수요 약화에 대한 우려가 다시금 시장을 지배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필립 노바의 프리양카 사크데바 분석가는 "시장은 상충되는 신호들 사이에 갇혀 있다"고 현재 시장 상황을 진단했습니다.

사크데바 분석가는 수요 측면에서 미국 에너지 정보청(EIA)을 포함한 주요 에너지 기관들이 한목소리로 수요 약화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는 단기적으로 유가 상승을 기대하기 어려운 국면임을 시사합니다.

견고한 공급과 감소하는 정제 수요

공급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요소를 찾기 어렵습니다. 리포우오일어소시에이츠의 앤드류 리포우 사장은 "석유 공급은 여전히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며, 특히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원유 생산량 감축 노력이 축소되고 있음을 언급했습니다. 이는 시장에 더 많은 원유 공급이 이루어질 가능성을 높입니다.

더욱이 원유에 대한 정제 수요 역시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리포우 사장은 "정유소 정비 시즌이 도래하면서 수요가 더욱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미국 정유 시설은 통상 봄과 가을에 생산 설비의 유지보수를 위해 가동을 중단하는데, 이를 '턴어라운드(Turnaround)'라고 합니다. 이 기간에는 원유 정제량이 줄어들면서 원유 수요 역시 자연스럽게 감소하게 됩니다.

💡 용어 설명: 턴어라운드 (Turnaround)
석유화학 공장이나 정유 시설에서 생산 설비의 안전과 효율성을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대규모 점검 및 보수 작업입니다. 봄과 가을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 기간 동안 해당 시설의 가동률이 낮아지거나 중단되어 원유 수요에 영향을 미칩니다.

미국 재고 증가, 수요 둔화 신호 강화

주요 데이터
  • 미국 증류유 재고: 예상치 상회하는 400만 배럴 증가

이러한 수급 불균형 우려를 뒷받침하는 데이터도 발표되었습니다. 앞서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미국 내 증류유 재고가 시장 예상치를 뛰어넘는 400만 배럴 증가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세계 최대 석유 소비국인 미국에서 석유 제품에 대한 수요가 둔화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주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리포우오일어소시에이츠 앤드류 리포우 사장은 "정유소 정비 시즌으로 수요가 더욱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결과적으로, 금리 인하를 통해 경기를 부양하려는 기대감보다는 실제 시장에서 관측되는 공급 과잉과 수요 약화라는 거시적 요인들이 유가 하락을 더욱 부추기는 형국입니다. 이러한 추세가 지속된다면 국제 유가 추가 하락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시장 전망 및 리스크 요인

⚠️ 향후 전망 및 리스크
현재 국제 유가는 공급 과잉과 수요 둔화라는 두 가지 주요 하방 압력에 직면해 있습니다. 미국 증류유 재고의 지속적인 증가와 정유소 턴어라운드 시즌은 단기적으로 유가 반등을 어렵게 하는 요인입니다. OPEC의 생산량 조절 정책 변화, 글로벌 경제 성장률 전망, 주요 산유국의 지정학적 리스크 등이 향후 유가 변동성에 영향을 미칠 주요 요인이 될 것입니다. 또한, 금리 인하 기대감이 실제 경기 회복으로 이어지지 못할 경우 수요 둔화 우려는 더욱 심화될 수 있습니다.
Tags  #경제  #뉴욕유가  #WTI  #서부텍사스산원유  #국제유가  #석유  #공급  #수요  #약화  #OPEC  #EIA  #증류유  #재고  #에너지  #시장  #유가  #전망  #퍼미안  #분지  #텍사스유전  

Author Photo
천경선 기자

(latte1971@gmail.com)

문화경제일보 경제부

닉네임:
댓글내용:
🎖️ '문화경제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인기글
새글

AI 작곡/제작 콘텐츠 '저작권 누구에게?'…문화계 딜레마 가중
2025-10-24
  • AI 창작 시대의 도래: '인공지능 작곡/제작' 콘텐츠의 저작권 및 윤리 문제
  • 문화계의 딜레마 핵심 요약: AI 기술이 음악
  • 웹툰
[긴급 진단] 글로벌 무역 질서 격랑 속, 한국 수출 기업의 생존 전략: 첨단 기술과 신흥 시장이 희망
2025-10-24
  • 불안한 글로벌 무역 질서
  • 국내 수출 기업의 활로 모색: '첨단 기술'과 '신흥 시장'이 열쇠 핵심 요약: 미국-중국 간의 무역 갈등 심화와 관세 장벽 확대 속에서
  • 국내 수출은 반도체 등 고성능 첨단 산업 품목을 중심으로 호조를 이어가고 있음. 지정학적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성장을 지속하기 위해
미국 금리 인하
2025-10-24
  • 미국 금리 인하
  • 원/달러 환율
  • 환율 변동성

📸 이미지 프롬프트 복사 완료!
이제 어떤 이미지 생성 도구로 이동하시겠어요?
🧠 ImageFX 🧪 Whi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