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3대 지수가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25bp 인하에도 불구하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 해석을 둘러싸고 극심한 변동성을 보인 끝에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파월 의장이 고용 시장의 악화와 경기 둔화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장중 상당한 낙폭을 보이기도 했으나, 인플레이션에 대한 단기적 시각을 강조하면서 낙폭을 빠르게 회복했습니다.
미국 증시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결정 발표 이후에도 제롬 파월 의장의 발언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극심한 널뛰기 장세를 연출한 끝에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시장은 예상대로의 금리 인하 자체보다는 금리 결정 배경과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한 파월 의장의 해석에 집중하며 냉탕과 온탕을 오갔습니다.
FOMC 결과와 엇갈린 시장 반응 🎢
17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260.42포인트(0.57%) 오른 46,018.32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반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6.41포인트(0.10%) 하락한 6,600.35, 나스닥종합지수는 72.63포인트(0.33%) 밀린 22,261.33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예상 부합한 금리 인하, 그러나…
연준은 전날부터 이틀간 진행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 회의에서 시장의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25bp 인하했습니다. 12명의 투표 위원 중 1명의 이사를 제외한 11명이 동의했으며, 분기 경제전망요약(SEP)에 담긴 점도표 역시 연내 50bp 추가 인하 가능성을 시사하며 시장 예상에 부합하는 비둘기파적 전망을 내놓았습니다.
1. 연준, 예상대로 기준금리 25bp 인하 결정.
2. 파월 의장의 고용 시장 우려 발언에 증시 일시 급락.
3. 인플레이션 단기화 언급에 낙폭 만회하며 혼조 마감.
하지만 주요 주가지수는 장중 급등락을 반복하며 방향성을 잡지 못했습니다. 이는 회의 결과 발표 후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을 두고 시장 참여자들의 해석이 엇갈렸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파월 의장 발언에 대한 시장의 엇갈린 해석 ⚖️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고용 시장의 악화 가능성에 상당한 시간을 할애했습니다. 그는 최근의 대규모 고용 수정치에 대해 "노동 시장이 더 이상 견고하지 않다는 의미"라며, "노동 공급이 명백히 크게 줄었고 수요 또한 급격히 감소했다"고 평가했습니다. 더불어 "고용 시장에 하방 위험이 증가했다"고 진단하며, 최근의 일자리 증가 속도가 실업률 유지를 위한 '손익분기점' 수준을 밑돌고 있으며 노동력 공급과 수요 둔화가 동시에 나타나는 것은 이례적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고용 냉각 우려, 공포감 자극
이러한 발언에 시장은 순간적으로 낙폭을 확대했습니다.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장중 한때 1.23%까지 하락하며 불안감을 드러냈습니다. 이는 금리 인하 결정 자체보다는 금리 인하의 배경으로 거론된 고용 시장의 냉각과 경기 악화 가능성이 투자자들의 공포심을 자극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매파적 금리 전망과 인플레이션 시각
내년 금리 전망에 대한 점도표 역시 다소 매파적인 신호를 보냈습니다. 점도표상 2026년 금리 인하는 1회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어, 현재 시장 전망치인 2~3회보다 느린 속도입니다.
다만, 파월 의장이 인플레이션에 대해 "관세 여파가 단기적이고 일회성 변화 수준에 그칠 것"이라고 언급한 전후로 주가는 낙폭을 빠르게 만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파월 의장이 "인플레이션 효과가 더 지속될 가능성도 있어 평가하고 관리해야 할 위험"이라고 덧붙이기는 했으나, 시장은 이를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를 덜어내는 신호로 해석했습니다.
업종별 및 개별 종목 동향 분석 📈
기술주 비중이 높은 나스닥 지수가 약세를 보인 반면, 우량주 중심의 다우 지수와 중·소형주 위주의 러셀2000 지수는 상대적으로 강세를 나타냈습니다. 이는 중·소형주와 우량주가 금리 인하의 효과를 기술주보다 더 크게 누릴 수 있다는 시장의 기대감을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주요 업종 및 종목별 움직임
업종별로는 필수소비재와 금융 섹터가 1% 가까이 상승했으며, 기술 섹터는 0.7% 하락했습니다. 시가총액 1조 달러 이상의 대형 기술 기업 중에서는 엔비디아와 브로드컴이 각각 3% 안팎의 낙폭을 기록하며 부진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 +0.57%
- S&P500지수: -0.10%
- 나스닥종합지수: -0.33%
- 엔비디아: 약 -3%
- 브로드컴: 약 -3%
- 알리바바: +2% 이상
- 핀둬둬: +4% 이상
- 리프트: +13%
엔비디아의 낙폭 확대는 중국 정부가 자국 기업에 최신 인공지능(AI) 칩 구매를 금지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됩니다. 이와 대조적으로 중국 기술 기업들은 강한 매수세를 보였습니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알리바바는 자체 AI 칩의 대형 고객사를 확보했다는 소식에 2% 이상 상승했으며, 핀둬둬 역시 4% 넘게 급등했습니다.
미국 차량 공유 플랫폼 리프트는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이 소유한 자율주행차 기업 웨이모와 상업적 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에 힘입어 주가가 13% 급등하는 두드러진 성과를 보였습니다.
향후 금리 전망 및 시장 변동성 지표 📊
향후 금리 경로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 툴에 따르면, 현재 연방기금금리 선물 시장은 12월까지 기준금리가 50bp 추가 인하될 확률을 81.8%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는 연말까지 총 2회의 추가 금리 인하가 유력하게 점쳐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연준의 금리 인하 결정과 파월 의장의 발언은 시장에 상반된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 고용 시장 둔화 우려가 경기 침체 가능성을 시사하는 반면, 인플레이션에 대한 단기적 시각은 추가적인 완화 정책 기대를 높이고 있습니다. 향후 발표될 경제 지표와 연준 위원들의 발언에 따라 시장의 변동성은 지속될 수 있습니다. 특히 미국 대선 결과 및 지정학적 리스크 요인도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면밀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한편, 시장의 전반적인 변동성을 나타내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 대비 0.64포인트(3.91%) 하락한 15.72를 기록하며 다소 안정세를 찾았습니다. 이는 장중 극심한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금리 인하와 인플레이션 우려 완화라는 긍정적인 요인이 시장 심리에 일부 반영된 결과로 해석됩니다.
이번 FOMC 결과는 금리 인하 자체보다는 그 배경과 향후 전망에 대한 시장의 민감성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었습니다. 투자자들은 파월 의장의 발언 속에 담긴 고용 시장과 인플레이션 관련 신호들을 면밀히 분석하며 다음 통화정책 방향을 가늠할 것으로 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