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거물 캐시 우드의 아크 인베스트먼트가 최근 상장 후 급락세를 보인 빅데이터 플랫폼 피그마와 암호화폐 거래소 불리쉬 주식을 집중 매수했습니다. 피그마에 약 594만 달러, 불리쉬에 약 753만 달러를 투자했으며, 이는 향후 이들 기업의 반등 가능성에 대한 캐시 우드의 자신감을 시사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캐시 우드, 상장 후 급락한 피그마·불리쉬 '저가매수'
글로벌 투자 업계의 혁신적인 행보로 주목받는 캐시 우드(Cathie Wood) 아크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기업공개(IPO) 이후 주가 부진을 겪고 있는 두 종목, 피그마(Figma)와 불리쉬(Bullish)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단행했습니다. 이는 시장의 변동성 속에서도 성장 잠재력을 높이 평가한 투자 결정으로 해석되며, 향후 이들 기업의 주가 흐름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아크 인베스트먼트, 피그마·불리쉬 주식 집중 매수
- 피그마(Figma): 10만 8,238주 매수, 약 594만 달러(약 82억 6천만원) 투자.
- 불리쉬(Bullish): 14만 3,906주 매수, 약 753만 달러 투자.
아크 인베스트먼트의 대표적인 혁신 성장주 투자 펀드인 아크 차세대 인터넷 ETF(ARKW)는 지난 4일(현지시각) 디자인 협업 툴 분야의 선두 주자로 꼽히는 피그마의 주식 10만 8,238주를 매입했습니다. 이번 매수에 투입된 자금은 약 594만 달러(한화 약 82억 6천만원)에 달합니다. 이는 지난 8월에도 11만 3,605주의 피그마 주식을 추가 매입했던 아크 ETF의 행보와 맥을 같이 하며, 피그마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피그마는 지난 7월 말 공모가 33달러로 상장한 이후 한때 115.5달러까지 치솟으며 높은 기대감을 나타냈습니다. 그러나 이후 시장 상황 변화와 함께 주가는 하락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캐시 우드 CEO는 피그마의 혁신적인 기술력과 시장 지배력을 높이 평가하여 '저가 매수'에 나선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어 아크 차세대 인터넷 ETF는 지난 5일에는 암호화폐 거래소 운영사이자 블록체인 미디어 코인데스크의 모회사인 불리쉬(Bullish)의 주식 14만 3,906주를 약 753만 달러에 매입했다고 밝혔습니다. 불리쉬 역시 지난달 37달러에 상장된 후 100달러를 돌파하는 강세를 보였으나, 이후 주가는 약 45% 급락하며 시장의 변동성을 여실히 보여주었습니다.
"성장 잠재력 높은 혁신 기업에 대한 신뢰"
캐시 우드 CEO는 평소 혁신 기술과 파괴적 혁신(Disruptive Innovation)을 통해 미래 성장을 이끌 기업에 대한 과감한 투자를 이어온 것으로 유명합니다. 이번 피그마와 불리쉬에 대한 대규모 투자는 두 기업이 현재의 주가 하락세를 딛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높은 성장 잠재력을 보여줄 것이라는 캐시 우드 CEO의 확신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IPO 이후 부진했던 피그마와 불리쉬, 반등 모멘텀은?
피그마는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와 강력한 협업 기능을 바탕으로 디자인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빠르게 점유율을 높여왔습니다. 특히 웹 기반으로 작동하여 별도의 설치 없이 접근이 용이하고, 실시간 협업 기능을 통해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디자인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디자이너와 개발자들에게 필수적인 툴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하지만 상장 이후 높아진 밸류에이션 부담과 기술주 전반의 조정 국면이 겹치면서 주가 하락세를 겪었습니다.
불리쉬는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인 FTX의 창업자가 설립한 기업으로, 높은 규제 기준을 준수하며 안정적인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코인데스크 등 블록체인 관련 미디어 사업 부문과의 시너지를 통해 블록체인 생태계 내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상장 초반 높은 기대감으로 급등했던 주가는 이후 암호화폐 시장의 전반적인 침체와 규제 관련 불확실성으로 인해 조정을 받았습니다.
캐시 우드 CEO의 투자 결정은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으나, 투자자들은 여전히 시장의 변동성, 기업별 실적 및 경쟁 심화 가능성 등을 면밀히 주시해야 합니다. 특히 기술주 전반의 금리 인상 영향, 암호화폐 시장의 불안정성 등 거시 경제적 요인 또한 두 기업의 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변수입니다. 피그마의 지속적인 시장 점유율 확대와 불리쉬의 규제 환경 속에서의 사업 안정화 여부가 향후 주가 흐름을 결정할 주요 관건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