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 갈등 재점화 우려로 달러-원 환율이 급등했으나, 외환당국의 구두 개입으로 상승폭을 상당 부분 반납하며 1,425.80원에 마감했습니다. 이번 급등은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강화와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 발표에 따른 위험 회피 심리 확산이 주된 원인이었습니다. 구윤철 부총리는 미국과의 통화스와프 논의를 진행 중임을 밝혔으나, 환율의 불확실성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입니다.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외환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었습니다. 13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원 환율은 장중 1,434.00원까지 치솟았으나, 외환 당국의 구두 개입 소식이 전해지면서 오름폭을 상당 부분 반납하며 전일 대비 4.80원 상승한 1,425.80원에 정규장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는 지난 4월 29일 이후 가장 높은 종가 수준입니다.
미중 무역 갈등 재점화, 환율 상방 압력으로 작용 💥
이날 달러-원 환율은 전장 대비 9.00원 높은 1,430.00원으로 출발하며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장중에는 1,434.00원까지 치솟으며 불안감을 키웠습니다. 이러한 환율 급등의 배경에는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 재점화 우려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최근 중국이 희토류 수출 통제를 강화하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오는 11월 1일부터 10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며 맞불을 놓았습니다.
지난 5월 잠정 휴전에 들어갔던 양국의 관세 전쟁이 다시 전운을 드리우자, 시장에서는 위험 자산 회피 심리가 확산하며 원화 약세를 부추겼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은 중국을 해치려는 것이 아니라 도우려는 것"이라며 시장을 진정시키려는 발언을 했고, 수출업체들의 네고 물량도 출회하며 상단을 일정 부분 제한했습니다. 하지만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 투자자들의 주식 매도세 등이 지속되면서 달러-원 환율은 1,430원선을 상향 돌파하는 압력으로 작용했습니다.
외환 당국의 '공동 구두 개입', 환율 안정 시도 🗣️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던 달러-원 환율은 외환 당국의 개입 시사에 급격히 안정을 찾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은 이날 공동으로 "최근 대내외 요인으로 원화의 변동성이 확대되는 과정에서 시장의 쏠림 가능성 등에 대해 경계감을 갖고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1년 6개월 만에 이루어진 공동 구두 개입으로,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당국의 구두 개입 이후 달러-원 환율은 1,420원 중후반대로 밀려났으며, 외환 당국의 실개입 가능성에 대한 경계감 속에서 오름폭을 꾸준히 반납하며 장중 1,423.60원까지 하락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시장 참여자들에게 당국이 환율 급등락을 용인하지 않겠다는 강력한 신호를 보낸 것으로 해석됩니다.
미중 무역 갈등의 전개 양상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 방향, 그리고 국내 수출입 동향 등 복합적인 요인들이 향후 달러-원 환율의 움직임을 좌우할 것으로 보입니다. 외환 당국의 개입 여부와 강도 또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구윤철 부총리, 美 통화스와프 논의 현황 공개 🤝
한편,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하여 미국과의 통화스와프(Currency Swap) 논의가 진행 중임을 밝혔습니다. 구 부총리는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으로부터 "우리 외환시장 상황으로 이해하고 내부적으로 논의하겠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전했습니다. 그는 대미 투자 금액인 3,500억 달러를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임을 설명하며, 한국의 외환 사정에 대해 충분히 설득했다고 덧붙였습니다.
구 부총리는 오는 15일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참석차 미국 워싱턴 D.C.를 방문하는 동안 베선트 장관과의 면담을 조율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무제한 통화스와프가 충분조건이 아닌 필요조건임을 다시 한번 강조하며, 한국이 연간 사용할 수 있는 외환보유고가 최대 150억~200억 달러 수준임을 언급했습니다. 이는 통화스와프의 중요성을 시사하는 발언으로 해석됩니다.
통화스와프는 두 나라가 서로의 통화를 미리 정해진 환율에 따라 교환하기로 약속하는 계약입니다. 이는 외환 위기 시 상대국 통화를 확보하여 외환 시장의 안정을 꾀하고 국가 신인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장중 주요 지표 및 시장 반응 📈📉
이날 장 초반에는 딜 미스(거래 실수)로 인한 혼란도 발생했습니다. 개장 직후 전장 대비 약 90원 낮은 1,330원대에서 다수의 거래가 체결되었으나, 이는 큰 자릿수를 잘못 입력한 결과로 확인되어 모두 취소 처리되었습니다.
한편, 외국인 투자자들은 통화선물시장에서 달러선물을 약 3만 7천 계약 순매도하며 달러 강세에 베팅하는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위안화를 절상 고시했으며, 달러-위안 거래 기준환율은 전장 대비 0.0041위안 하락한 7.1007위안에 고시되었습니다.
구분 | 오전 9시 | 오후 3시 30분 (마감) | 변동폭 (전일 대비) |
---|---|---|---|
달러-원 환율 | 1,430.00원 | 1,425.80원 | +4.80원 |
달러-엔 환율 (마감 무렵) | - | 151.830엔 | - |
위안-원 직거래 환율 (마감) | - | 199.85원/위안 | - |
코스피 지수 | - | 3,584.55p | -0.72% |
코스닥 지수 | - | 860.49p | +0.12% |
시장 평균환율(MAR)은 1,427.70원에 고시될 예정이며, 현물환 거래량은 서울외국환중개와 한국자금중개 양사를 합쳐 119억 7,800만 달러로 집계되었습니다. 국내 증시에서는 코스피가 0.72% 하락한 3,584.55에, 코스닥은 0.12% 상승한 860.49에 마감했습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유가증권시장에서 8,212억 원, 코스닥 시장에서 1,006억 원 상당의 주식을 순매도했습니다.
다음 거래일 전망: 불확실성 속 상방 압력 지속 가능성 🔮
외환 딜러들은 향후 달러-원 환율이 불확실성이 커진 가운데 당국의 개입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상방 압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한 증권사 딜러는 "원화가 강세로 전환될 만한 뚜렷한 요인이 보이지 않는다"며, "증시가 상승해도 개인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하단을 지지하면서 달러-원이 쉽게 내려가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한 은행 딜러는 "당국의 개입이 있었지만, 결제 물량이 꾸준히 나오고 있어 상단이 어느 정도 막힐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결제 물량으로 인해 상승하더라도 다시 내려올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다만, 그는 "매수로 대응하기보다는 상승 시 단기 매도를 시도하는 것이 나을 수 있지만, 불확실성이 커 섣불리 방향성 베팅을 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