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에 강한 불쾌감을 표하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 가능성을 일축했습니다. 이에 따라 미중 무역 갈등이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면서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일제히 급락했습니다. 기술주를 중심으로 한 매도세가 시장 전반을 휩쓸었으며, 글로벌 경기 둔화 가능성에 대한 경고음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10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 대비 878.82포인트(1.90%) 급락한 45,479.60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82.60포인트(2.71%) 밀린 6,552.51, 나스닥종합지수는 820.20포인트(3.56%) 폭락한 22,204.43에 장을 마쳤습니다. 특히 나스닥 지수는 지난 4월 상호 관세 불확실성 당시 기록한 4.31% 폭락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하며 시장 불안감을 고조시켰습니다.
트럼프, 시진핑과 회담 필요성 일축…무역 불확실성 재점화 🚀
이번 시장 급락의 도화선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발언이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대대적인 희토류 수출 통제 움직임에 대해 강한 불쾌감을 표시하며, 당초 예정되었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이 더 이상 필요 없어졌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중국 정부가 발표한 '적대적인 명령'에 대해 미국 대통령으로서 재정적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강조하며, 중국산 제품에 대한 대규모 관세 인상을 진지하게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는 미중 무역 갈등이 또다시 심화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입니다.
중국의 연이은 대미 견제 조치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발언은 중국 정부가 전날부터 발표한 일련의 대미 견제 조치에 대한 대응으로 풀이됩니다. 중국은 미국 선박을 대상으로 입항료를 별도로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으며, 미국 반도체 기업 퀄컴에 대해서는 자동차 반도체 설계회사 오토톡스 인수를 두고 반독점 조사를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또한, 일부 희토류 수출 시 중국 정부 발급의 이중용도 물자 수출 허가증을 받도록 하는 정책 변경과 함께, 희토류 관련 제품 및 기술에 대한 수출 통제 대상 범위를 확대했습니다. 이러한 조치들은 중국이 미국의 압박에 맞서 '수출 통제'라는 카드를 꺼내 들었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주요 지표 및 업종별 동향: 기술주 '직격탄'
-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 1.90% 하락
- S&P 500 지수: 2.71% 하락
- 나스닥 종합지수: 3.56% 하락 (4월 10일 이후 최대 낙폭)
전반적인 시장 하락세 속에서 기술주가 가장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필수소비재 섹터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약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올해 증시를 견인해 온 인공지능(AI) 및 반도체 테마주가 포함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필리 지수)는 6.32%라는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필리 지수를 구성하는 30개 종목 모두 하락세를 보였으며, 엔비디아(-4.89%), 브로드컴, TSMC, ASML, AMD, 마이크론테크놀로지 등 주요 반도체 기업들이 5~7%대의 하락률을 기록했습니다.
시가총액 1조 달러 이상의 거대 기술기업들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엔비디아와 브로드컴 외에 아마존, 메타, 테슬라, 애플 등도 3% 이상 하락했습니다. B.라일리웰스의 아트 호건 수석 시장 전략가는 "기술주들이 가장 크게 하락한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라며, "이들 기업은 중국에 제조업 기지와 주요 고객이라는 측면에서 상당 부분 노출되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필수소비재 섹터, 상대적 강세
반면, 글로벌 무역 긴장 속에서 필수소비재 섹터는 일부 종목이 오름세를 보이며 상대적인 강세를 나타냈습니다. 월마트는 강보합으로 마감했으며, 코카콜라(1.01%)와 펩시코(3.71%)도 상승했습니다. 담배 회사 필립모리스(2.31%)와 맥도날드(1%) 역시 소폭 상승하며 시장 하락장에서 방어적인 성격을 드러냈습니다.
전문가 진단: 무역 협상 기대감 소멸, 변동성 확대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 대비 5.23포인트(31.83%) 폭등한 21.66을 기록하며 시장의 불안감을 반영했습니다. VIX 지수가 22선을 웃돌기도 했는데, 이는 투자자들이 벤치마크 지수의 추가적인 큰 폭 하락에 대비해 옵션 시장에서 매수 포지션을 강화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미중 양국이 다시 무역 보복전을 본격화할 경우, 글로벌 경기 둔화 가능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에 따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 역시 이날 4% 넘게 폭락했으며, 미국 국채 금리도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투자자들은 미중 관계의 추가적인 악화 여부를 예의주시하며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연방 정부 셧다운 장기화, 금리 인하 기대감은 상승
한편, 트럼프 행정부는 연방 정부 셧다운 10일차를 맞으며 연방 공무원 해고가 시작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미국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기 둔화 우려와 무역 갈등 심화에도 불구하고,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12월까지 연방기금금리가 50bp 인하될 확률은 90.2%로 반영되며 전날(81.0%) 대비 상승했습니다. 이는 시장이 경기 침체 가능성에 대비해 금리 인하 기대를 높이고 있음을 보여줍니다.